|
중복(22일)과 대서(23일)를 지나며 삼복더위를 실감하는 요즘이다. 우리 조상들은 여름철 복달임으로 입맛 돋우는 제철음식들을 찾았다. 물론 자신이 깃들어 살아가는 터전의 식재료가 그 원천이다.
냉장고 보급이 뜸하던 시절 내륙 산간지방에서 비린 것을 맛 볼 수 있기로는 자반, 굴비, 젓갈류가 고작이었다. 따라서 맑은 계류에서 갓 잡은 민물 잡어는 이들 지역에서는 근사한 식재료에 다름없었다.
어죽은 말 그대로 물고기 죽이다. 손질한 민물고기를 고아 뼈를 발라낸 뒤 불린 쌀과 수제비를 떼어 넣고 끓인 죽이다. 민물고기를 좋아하지 않는 이들도 일단 맛을 보고 나면 부드러우면서도 얼큰 고소한 맛에 매료돼 다시 찾는 보양식이다. 무주의 어죽은 영동, 금산, 함양 등 여타 지역의 것과는 조금 다르다. 유독 빠가사리(동자개)를 많이 쓴다. 빠가사리는 물에서 잡아 올릴 때 '빠관각' 소리를 낸다고 해서 그런 이름을 얻었는데, 국물 맛이 좋은 물고기다.
|
어죽집 주인들에게 죽거리용으로는 잘잘한 고기가 더 반갑다. 큰놈들 보다 더 맛있을 내기 때문이다. 특히 죽을 끓이는 데에는 빠가사리가 최고다. 잡고기만 쓰면 틉틉하고 비린 맛이 더해지는데 빠가사리가 이를 상쇄시켜준다는 것이다. 무주의 어죽은 얼큰 매콤한 게 목넘김 부터가 부드럽다. 죽이라고 쌀알이 으깨지기보다는 씹히는 식감도 있다. 특유의 비린내도 거의 느껴지지 않지만 간혹 풍기는 생선 맛 정도야 어죽을 맛보는 이유쯤으로 여길만하다.
무주에서도 어죽을 곧잘 끓인다는 맛집의 비법은 크게 두 가지다. 물고기를 골고루 섞어 쓰고, 핏물을 잘 빼내는 것이다. 비린내를 잡는 데에는 핏물 제거가 필수다. 민물고기는 싱싱할수록 비린내가 강하다. 따라서 어죽에 파닥거리는 물고기를 잡아 바로 끓이는 게 능사는 아니다.
무주의 어죽에 따라 나오는 밑반찬은 단출하다. 덕유산자락에서 나는 것들로 배추김치, 물김치, 양파-오이-풋고추에 된장 정도가 전부다.
하지만 무주 어죽집 주인의 훈김 도는 얘기는 그 무엇보다도 감칠맛 나는 조미료에 다름없다.
"벨 볼일 없는 죽 한 사발 먹을라고 여그까지 찾아와 섰는 것을 보면 고마우면서도 미안시럽기까지 합니다. 맛있다고 잘 먹는 손님들을 보면 겁나게 행복하지요."
삼남지방의 개마고원이라고 불리는 전북 무주는 열대야가 없는 곳이다. 덕유산자락의 차가운 계곡수에 발을 담그고 금강지류에 나가 천렵을 즐길 수 있으니 천혜의 피서지에 다름없다. 거기에 따뜻한 인정까지 듬뿍 들어 있는 어죽 맛을 보게 된다면 이만큼 흡족한 여름휴가가 또 없을 것이다.
김형우 문화관광전문 기자 hwkim@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