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저체중아 생존율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민관 공동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향후 2년 간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 집중 치료법을 개발해 극소저체중아의 생존율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최종 목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500그램 미만의 극소저체중아는 1993년도 929명에서 2011년도 현재 2,935명으로 300% 이상 급격히 증가해 이에 대한 국가적 대처가 시급한 상황이다.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패혈증 등 여러 중증합병증을 동반해 신생아 사망률을 높일 뿐 아니라 성장발달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한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은 2000년대부터 신생아 집중치료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일부 병원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83%, 초극소저출생체중아(1,000그램 미만)의 생존율 60%로 세계적 수준의 치료성적을 보고하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적 치료성적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밑돌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출범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극소저체중아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지난 87년부터 시작해 이를 완성한 91년부터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매년 다기관 네트워크를 통해 발표하는데 10년간 생존율을 82%에서 85%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일본 역시 97년부터 구축한 네트워크를 계기로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89%까지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구축 연구책임자인 박원순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국내 극소저체중아를 살리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전국 단위 현황 파악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우리의 실정에 가장 적합한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집중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고 결국 우리나라 신생아 치료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보건연구원과 대한신생아학회는 이번 연구과제를 주도하는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5일 오후 5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세미나실 3번방에서 과제 발대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을 비롯해 조명찬 국립보건연구원장, 배종우 대한신생아학회장 등이 참석한다.
국립보건원 조명찬 원장은 "극소저체중아 연구 네트워크 구축 및 등록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국가 보건통계 자료와 예방관리대책 수립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고위험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과 주요 합병증 감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사회경제적 부담 감소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나성률 기자 nas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