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선수민 기자]프로야구 신인계약금은 어떻게 책정될까. 천차만별이다. 기준이 뭘까.
다른 구단들의 반응도 비슷하다.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각자 출전 시간이 상이한 고등학교 때의 성적이 모든 걸 보여주지 않기 때문. B구단 스카우트 담당자는 "기본 시스템은 돼있다. 하지만 성적만으로 시스템을 돌리면 안된다. 시장 가치와 미래 가치를 함께 고려 한다. 1군에서 뛸 수 있는 선수인지, 육성해야 할 선수인지 등을 보고 책정한다"고 설명했다. C구단 스카우트 역시 "기량과 시장 상황, 장래성을 모두 본다"고 말했다.
과거와 달리 신인이 '대형 계약'에 성공하기는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기량과 수요 문제다. 메이저리그 진출 열풍이 불었을 당시, 대형 신인들이 여럿 등장했다. 한기주, 유창식 등이 모두 이와 같은 사례다. 해외 진출 가능성이 생기면서 국내 구단들은 '대형 신인'을 눌러 앉히기 위해 많은 계약금을 제시했다. 그러나 메이저리그와 1군의 벽은 점차 높아졌다. C구단 스카우트는 "해외 진출이 줄어들기도 했고, 예전 만큼의 대어급이 없는 게 사실이다. 수업을 하면서 주말리그를 하는 상황에선 기량 발전을 이룰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구단도 큰 돈을 쓰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최근 늘어난 '해외 유턴파' 선수들은 KBO 2차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만, 입단시 계약금이 없다. 이미 해외 진출로 한 차례 계약금을 받기 때문에 제약을 둔다는 것이 KBO와 구단들의 입장이다.
선수민 기자 sunsoo@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