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첫3연임'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수어인사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존의 교육"[진심인터뷰]

전영지 기자

기사입력 2022-07-21 16:50 | 최종수정 2022-07-22 16:50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14일 서울시 교육청에서 진행된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 앞서 '사랑합니다' 국제수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이렇게 맞죠?"

한여름 폭우가 활짝 갠 7월 중순 서울시교육청 집무실, 사진 촬영을 위해 '업사이클링' 친환경 자전거 앞에 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환한 미소와 함께 손가락을 펼쳐보였다. '아이 러브 유' 국제수어 포즈를 취한 후 능숙한 수어 인사가 이어졌다.

장애-비장애학생들이 함께 하는 통합교육에 대한 조 교육감의 관심은 진심이다. 지난해 9월 전국 최초 통합교육팀을 신설한 데 이어, 올해 3월 1일엔 특수교육과를 설립했다. 올해 초 신년 기자회견도 강남의 특수학교 '서울나래학교'에서 했다. 2007년 교육감 직선제 도입 이후 '수도' 서울에서 최초의 3연임에 성공한 그의 새 임기 일성은 "더 질 높은 공교육,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존의 교육'"이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14일 서울시 교육청에서 진행된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 앞서 '감사합니다' 수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장애-비장애학생,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존의 교육

참여연대 초대 사무처장, 진보 사회학자 출신인 '3선' 교육감의 교육에 대한 통찰은 깊고 넓었다. 점점 심화되는 좌우, 세대, 지역, 빈부간 양극화 문제 속에서 서울 교육의 방향성을 냉철하게 짚어냈다. "대선 이후 사회적,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다양한 의견을 상호존중하는 공존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차이를 존중하고 접점을 찾고자 하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대선은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종료시키고 승자에게 국가를 경영할 5년의 권한을 주는 것인데 '박빙의 선거'다보니 이 갈등이 종료가 안 된다. 갈등이 일상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럴 때야말로 공존의 마인드가 필요하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장애와 비장애의 공존, 의견이 서로 다른 이들과의 공존, 학력, 체력 격차를 상쇄하는 평등의 교육을 고민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2017년 서울 강서구의 특수학교 '서진학교' 설립을 추진하면서 학부모, 지역 사회와 갈등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특수교육, 통합교육, 공존교육에 대한 신념과 의지는 더욱 확고해졌다.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공동담임제로 협업하는 '더공감교실'을 운영하는 유치원에 직접 가봤다. 학부모들의 반응이 아주 좋았다"고 소개했다. "우리 교육청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인 '더불어통합공동체'를 지원하고 있다. 통합체육 활동으로 장애-비장애학생이 함께 타는 2인용 '텐덤사이클' 교실을 운영중인데 현장의 호응이 높다. 장애, 비장애 아이들이 함께 배우고 함께 뛰어놀면서 어릴 때부터 장애친화적 마인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앞으로 이런 활동을 더욱 확대해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14일 서울시 교육청에서 진행된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조 교육감은 스포츠조선이 11월 서울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진행하는 장애-비장애학생 체육페스티벌 '서울림운동회'에 대한 지지의 뜻도 분명히 했다. "학교에서 통합 체육교육을 자연스럽게 활성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더 확대돼야 한다"고 했다. "선진국이란 적절한 삶의 속도, 적절한 경쟁의 속도를 가진 사회다. 우리 사회는 고도성장으로 인해 '압축 성숙'했다. 선진국이 됐는데도 부문간, 개인간 부조화가 여전히 크다. '수학계 노벨상'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의 이야기가 맞다. 단일척도에 의해 한줄로 줄세우기 하는 과거형 교육방식은 맞지 않다. 다척도의 사회, 공존의 교육, 다양성의 교육이 절실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통합체육을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선 특수교사뿐 아니라 체육교사, 일반교사의 참여 의지가 중요하다는 지적에 조 교육감은 고개를 끄덕였다. "신규교사 연수과정에서 특수교육, 통합교육, 양성평등 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무엇보다 관리자인 학교장의 장애친화적 마인드가 중요하다. 통합교육 안내서를 개발하고 통합교육의 좋은 사례를 모아 더 많이 공유하면 좋을 것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교육감배 학교스포츠 클럽 종목에 통합스포츠 종목을 추가하는 부분에도 공감했다. "장애-비장애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스포츠클럽 종목을 발굴해 교육감배 대회에서 운영해볼 수 있도록 관련 부서와 협의해 보겠다"고 했다.

조 교육감은 "과거 독재시대엔 개인의 권리와 이익을 억압하는 권력과 맞서 싸우는 전투적 자세가 강조됐다. 이제는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위해 전투적으로 싸우는 인간상보다 공동체를 위해 양보하고 희생하고 헌신하는 공화적 인간상을 존중하는 마인드로 바뀌어가야 한다. '더불어숲'처럼 장애학생, 비장애학생, 강자와 약자, 승자와 패자가 동행하는 공존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14일 서울시 교육청에서 진행된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 앞서 '안녕하세요' 수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

조 교육감은 지난 두 번의 임기, 가장 기억에 남는 체육정책으로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꼽았다. "임기 1기에 여학생 체육활동 프로젝트 '여신, 여학생이 신나는 체육'을 시작했고, 임기 2기엔 '여신 시즌 2, 공차소서(공을 차자 소녀들아 서울에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작년에 4권역 여교사 28명과 여중생 75명으로 시작해, 올해는 8권역 여교사 38명과 여중고생 183명으로 확산됐다"며 뿌듯함을 전했다.

조 교육감은 또 "2021년 서울 학생 비만율이 32%라는 통계를 보고 깜짝 놀랐다"면서 "이럴 때일수록 평생 건강 기반을 다지는 학교체육이 정상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학생 건강더하기+'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 회복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서울 학생 '예스(1예술, 1스포츠)'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도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했다.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과 친숙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들을 위한 스포츠 환경 개선 부문에도 같한 관심을 전했다. "이 아이들을 위한 체육교육은 시설도, 콘텐츠도, 접근법도 달라야 한다. 학교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은 우리의 할 일"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임기 3기에 고민하는 것은 학교 틈새공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라고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교실 재배치를 통해 유휴교실을 확보, 리모델링을 통해 실내 체육관을 마련하는 체육관 증축 사업,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내 '스마트 실내체육실' 등을 설치하는 모델을 확대해가고 있다. 조 교육감은 "기존의 운동장, 체육관을 활용한 운동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체육활동을 병행하는 부분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이 14일 서울시 교육청에서 진행된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
세 번째 임기, 아는 만큼 보인다. "'반드시 이루고 싶은 정책'을 묻는 마지막 질문에 돌아온 그의 대답은 한결같이 "공존"이었다.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더 질 높은 서울교육, 다양성이 존중되는 공존의 교육을 통한 공존의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더 질 높은 수업', '더 질 높은 돌봄', '더 질 높은 방과후학교', '더 질 높은 급식'을 실현해 서울교육이 학생들의 지덕체, 전인교육을 실현하는 종합적 대안이 되도록 모든 열정을 쏟겠다"고 다짐했다.

2014년 첫날 이후 8년째, 조 교육감의 집무실엔 줄곧 '성찰'과 '방향성'을 뜻하는 나침반, '소통'을 뜻하는 원탁, '균형'을 뜻하는 자전거가 있다. 교육감 취임 후 흔들림 없이 품어온 철학이자 소신이자, 초심이다. 축구, 테니스를 즐기다 최근 자전거타기에 푹 빠졌다는 조 교육감은 "자전거를 타면서 배운 삶의 교훈이 있다면 자전거는 전진하기 위해서 반드시 중심을 잡아야 하고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했다. "두 바퀴로 가는 자전거처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공존의 서울교육"을 약속했다.
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