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의는 더 이상 없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일하게 경기장이 결정되지 않은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를 보광 휘닉스파크에서 열기로 최종 결정했다. 12일 이완구 총리의 지시로 김종덕 문체부장관, 조양호 평창조직위원장, 홍석규 보광 회장 이 긴급 회동을 갖고 심야협상을 진행한 끝에 경기장 사용료 문제를 극적으로 타결했다. 대회 성공의 필수시설인 평창선수촌(3500명 수용) 건설 문제도 해법을 찾았다. 총리의 강력한 의지로 관계기관 간 이견을 조정 해, 민간기업이 건설, 제공한 후 일반 분양시 재산세 중과세 부과문제는 법령 개정을 통해 방법을 찾기로 했다.
보광 휘닉스파크 같은 민간기업에 국민의 세금이 얼마나 투입되는지, 대회 이후 시설들이 강원도에 귀속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김 장관은 "아직 협상 절차가 남아있는 만큼 구체적인 사항을 다 밝힐 수는 없다. 국민세금을 아끼기 위해 노력했고, 성공적으로 협상했다. 보광측에서도 희생을 감수하고 국가행사인 만큼 봉사하겠다는 차원으로 참가했다. 보광측에 감사드린다"라고 답했다. 사후 활용과 재산권에 대해서는 "땅은 보광 땅이고, 시설은 정부나 강원도의 것이 될 것이다. 향후 협상이 진행될 부분인 만큼 이 역시 자세히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의 금메달 20개, 종합 4위 목표와 관련, 조양호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은 "동계종목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고, 동계 스포츠가 활성화되지 않아 준비과정에 문제가 있었지만, 동계 연맹들의 협조를 받아 전문가를 계속해서 채용하고, 우리 직원들을 파견해 열심히 훈련시키겠다. 내년 테스트 이벤트부터 차질이 없게끔 최선을 다해 훈련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