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김종덕 장관"평창 분산개최 논의 더이상 없다"

전영지 기자

기사입력 2015-03-13 15:20 | 최종수정 2015-03-13 15:20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의는 더 이상 없다."

정부가 평창 분산개최 논란에 쐐기를 박았다. 13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이하 대회지원위원회) 확대회의가 열렸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정계, 재계, 체육계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문체부 등 15개 부처 장관 및 대회조직위원장, 강원도지사 등 총 20명으로 구성된 대회지원위원회 멤버들은 물론, 김정행 대한체육회장, 정계(권성동, 김기선, 염동열, 정문헌, 한기호, 황영철 의원 등 강원지역 국회의원 6명), 재계(전경련 부회장), 체육계(김성조 한체대 총장, 국가대표 선수·코치), 지자체(평창군수, 강릉시장, 정선군수) 등이 참석했다. 평창동계올림픽 준비를 위해 이렇게 많은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처음이다. "혼선이 있거나 부진했던 쟁점들을 깨끗이 정리하고 앞으로 모든 주체가 힘을 모아 대회 준비에 매진하자"고 결의했다.

확대회의후 이어진 문체부 출입기자 브리핑에서 김종덕 문체부 장관은 "더 이상 분산 개최에 대한 논의는 없다, 국민 혈세를 아끼자는 노력 차원에서 분산개최 얘기가 나왔지만 이제 그런 부분들이 다 정리가 됐다. 더 이상 분산개최 논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마식령 스키장과의 분산 개최 논의 역시 평화 올림픽을 열자는 취지로 북한 선수단의 참여를 바라고 환영하지만, 분산개최는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일하게 경기장이 결정되지 않은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를 보광 휘닉스파크에서 열기로 최종 결정했다. 12일 이완구 총리의 지시로 김종덕 문체부장관, 조양호 평창조직위원장, 홍석규 보광 회장 이 긴급 회동을 갖고 심야협상을 진행한 끝에 경기장 사용료 문제를 극적으로 타결했다. 대회 성공의 필수시설인 평창선수촌(3500명 수용) 건설 문제도 해법을 찾았다. 총리의 강력한 의지로 관계기관 간 이견을 조정 해, 민간기업이 건설, 제공한 후 일반 분양시 재산세 중과세 부과문제는 법령 개정을 통해 방법을 찾기로 했다.

보광 휘닉스파크 같은 민간기업에 국민의 세금이 얼마나 투입되는지, 대회 이후 시설들이 강원도에 귀속되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김 장관은 "아직 협상 절차가 남아있는 만큼 구체적인 사항을 다 밝힐 수는 없다. 국민세금을 아끼기 위해 노력했고, 성공적으로 협상했다. 보광측에서도 희생을 감수하고 국가행사인 만큼 봉사하겠다는 차원으로 참가했다. 보광측에 감사드린다"라고 답했다. 사후 활용과 재산권에 대해서는 "땅은 보광 땅이고, 시설은 정부나 강원도의 것이 될 것이다. 향후 협상이 진행될 부분인 만큼 이 역시 자세히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에 대해 "사후활용 방안이 2~3개 정도 된다. 도시 전문가와 논의하려 하고,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어려움이 있어 정부차원에서 도움을 드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경기장 시설과 분산개최 등 평창 관련 각종 논의 과정에서 잡음이 흘러나온 것과 관련 김 장관은 "조직위에서 엇박자가 난 것이 아니다. 여기 모인 우리 세사람(김 장관, 조양호 평창조직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은 엇박자가 난 적이 없다. 회의를 통해 합의된 것은 지켜왔고, 회의에서 나오지 않은 이야기는 발표한 적이 없다. 오해가 있었던 것같다"고 해명했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의 금메달 20개, 종합 4위 목표와 관련, 조양호 평창올림픽조직위원장은 "동계종목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고, 동계 스포츠가 활성화되지 않아 준비과정에 문제가 있었지만, 동계 연맹들의 협조를 받아 전문가를 계속해서 채용하고, 우리 직원들을 파견해 열심히 훈련시키겠다. 내년 테스트 이벤트부터 차질이 없게끔 최선을 다해 훈련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