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날씨가 이어지면서 식중독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세균성 식중독, 독소형과 감염형으로 구분
세균성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과 감염형 식중독으로 구분된다.
외부에서 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독소형 식중독은 통상적인 조리 온도에서 끓여도 세균이 죽지만 독소는 파괴되지 않아 식중독 증세가 일어날 수 있다.
독소형 식중독에는 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 등이 있다.
감염형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보다 잠복기가 좀 더 길다. 열이 나는 등의 전신 증상이 있고 대변에 섞인 백혈구나 혈액 등을 조사해 보면 염증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감염성 식중독에는 살모넬라 식중독, 이질, 병원 대장균 식중독, 비브리오 패혈증 등이 있다.
피부에 기생하거나 끓여도 없어지지 않아…즉시 발병하거나 48시간 후 나타나기도
독소형 식중독의 대표적인 포도상구균은 사람의 피부에 기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세균이 음식 취급자의 손이나 코 점막 등에 붙어있다가, 재채기나 오염된 손을 통해 음식에 옮겨진 후 음식물이 실온에서 방치돼 균이 증식하면 장독소가 만들어지게 된다.
식중독이 잘 일어날 수 있는 식품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수분이 많은 크림, 샐러드, 육류(햄 등의 돼지고기 제품) 등이다. 가장 큰 특징은 음식을 먹은 후 2시간이면 복통,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장독소는 열에 강해 끓여도 없어지지 않는다. 예방을 위해 식품 취급자가 항상 손을 깨끗이 하는 등의 개인위생이 중요하다.
감염성 식중독 중 흔한 살모넬라 식중독은 균에 오염된 육류나 계란 등을 먹은 지 8~48시간 후에 발병한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오염된 음식을 먹은 5세 이하 소아와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률이 높다. 배꼽 주변이 아프고 설사가 나며, 38도 전후의 미열이 생기기도 한다. 증상은 보통 2일~1주 동안 지속하다가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예방은 계란 등을 조리할 때 충분히 고온에서 익히는 것이 필요하며, 계란이나 닭 등을 만진 후에 손과 도마, 조리기구를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한 비브리오 패혈증은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은 후에 발생한다.
오염된 어패류를 먹고 16~20시간 후에 갑자기 오한, 발열, 의식 혼탁 등 전신 증상으로 시작된다. 중요한 것은 발병 36시간 이내에 팔, 다리에 출혈, 수포형성 및 궤양 등의 피부병소가 생기며 일단 발병하면 치사율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특히 평소에 간 질환이 있거나 심한 알코올중독이 있는 사람이 걸리기 쉽다.
수액·전해질 보충 중요…노인이나 탈수 심하다면 진료는 필수
식중독에 걸렸을 때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할 치료는 수액과 전해질의 보충이다. 액체를 마실 수 없는 상태가 아니라면 경구 수분 보충 요법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설사나 구토로 인해 탈수 현상이 매우 심하거나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정맥주사를 이용한 수액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저항력이 약한 유아나 노인, 병약자들은 특별히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설사·고열·복통이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서 전문적인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박광범 교수는 "이전에는 식중독 환자는 절대적인 금식을 원칙으로 했지만 최근에는 수분 섭취와 함께 영양분을 공급해 장 세포가 빨리 회복되도록 한다. 설사 초기에는 쌀과 같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조금씩 먹는 것을 추천한다"며 "다만 급성기에는 우유나 유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변이 점차 굳어지면서 점차적으로 단백질, 지방 순으로 보충해 정상적인 식단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