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 사고와 관련, 한덕수 국무총리가 사고 당시 경찰 대응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112 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대책 마련에도 힘쓰겠다고 했다.
한 총리는 "국민 한 분 한 분이 112 버튼을 누를 때는 상당히 급박하고 경찰의 도움이나 조치가 절실한 경우이고, 그 이면에는 경찰이 언제든지 달려와 줄 것이라는 믿음과 신뢰가 있다"고 말했다. 또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고, 이런 임무를 수행하는 데 안일한 판단이나 긴장감을 늦추는 일이 있다면 국민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어제까지 돌아가신 분들 중 68분의 장례가 완료되고, 오늘은 58분이 장례가 예정돼 있다. 복지부와 서울시는 유가족과 일대일 매칭을 장례 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안내해주시길 바란다"면서 "공직자들은 다시 한번 각오를 다지고 이태원 사고 수습과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에 최선을 다해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안전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심폐소생술(CPR) 교육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졌다.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CPR을 시행하면, 심장마비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번 이태원 사고 당시 CPR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부족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교보건법에 따라 CPR을 포함한 응급처치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고 있지만, 다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 교육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직장 및 군대에서 시행 중인 CPR 교육도 실효성에 물음표가 달렸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말 발표한 '응급처치 교육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성인 500명 가운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대응능력을 갖춘 사람은 12.9%(40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채널 등에는 CPR 시행 순서와 방법,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등과 같은 내용이 담긴 게시물이 연일 공유되고 있다.
응급처치 강습을 진행하거나 연계하는 기관에도 시민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이태원 압사 사고 이후 본사와 수도권 지사에 교육 문의가 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한심폐소생협회 역시 이태원 참사 이후 홈페이지 접속량이 평소의 4배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