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올해 2월~5월 신용·체크카드 등 지급카드 이용 실적이 2%가량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카드별로 나눠 살펴보면 신용카드(-3.8%)와 체크카드(-0.1%)는 모두 감소했다. 반면 선불카드(+892.6%)의 경우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선불카드를 제외한 지급카드 이용실적 감소율은 -3.0%다.
월별 이용 실적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감소한 달은 3월(-7.4%)이었다. 이후 5월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세 둔화와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이 시작되면서 0.9% 증가로 전환했다.
대면 결제에서 실물카드 제시는 10.2% 줄었지만 모바일 기기 접촉 등 방식은 9.1% 늘었다. 모바일 기기와 컴퓨터(PC) 등을 통한 결제(일 평균 1.0조원) 중 간편결제 이용 비중은 점차 증가해 5월 현재 전체의 42.7%를 차지했다.
전체 지급카드 결제(일 평균 2조2000억원)에서 간편결제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2월 16.6%에서 5월 18.3%로 증가했다.
개인 신용카드 이용 실적만을 보면 비대면 거래 선호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전자상거래(+21.4%) 등은 증가했지만 여행(-80.2%)과 교육(-22.6%), 오락·문화(-16.8%) 등의 경우 대폭 감소했다. 특히 여행 부문에서 항공업종은 예약 취소로 인한 환급금이 급증하면서 통계 편제 이후 첫 마이너스(-544억원) 이용실적을 남기게 됐다.
지역별 개인 신용카드 사용은 수도권(+2.6%)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여행업 부진 영향을 크게 받은 제주(-21.1%)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했던 대구·경북(-14.2%), 부산·경남(-9.4%) 등의 감소 폭이 컸다.
한편 2~5월 어음·수표 결제금액은 일평균 17조3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8% 줄어들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규모는 주식투자 자금 유입 등 영향으로 13.9% 증가한 일평균 68.0조원을 기록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보크 논란 "임기영이 상대를 속이려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