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사업자들은 부동산시장의 위축으로 이번달 전국의 아파트 입주여건이 지난달보다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9월 HOSI 전망치는 전국적으로 80~90선을 기록한 가운데, 8·2 대책에서 규제 지역으로 지정된 경기(78.0)와 부산(79.4), 세종(77.1)은 70선을 나타냈다.
대구, 대전, 전북, 경남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의 HOSI 전망치가 하락하면서 지역 간 격차가 줄었다.
이에대해 연구원측은 "중견업체의 입주단지 규모가 대형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미입주 리스크가 적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9월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전국 53개 단지 3만2370세대로 집계됐다.
민간이 2만5480세대(78.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공임대 4195세대(13.0%), 공공분양 2695세대(8.3%) 등의 순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7개 단지 1만224세대, 지방 36개 단지 2만2146세대가 입주 예정이다.
8월 입주 기간이 만료되는 단지의 입주율은 전국 평균 79.7%를 기록했으며 제주의 입주율은 55%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투자수요에 대한 규제 강화와 전반적인 제주도의 관광 등 외지수요가 감소하면서 미분양주택이 늘어 입주율이 낮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원은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감소하면서 수요자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입주시장 여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규모 입주가 예정된 단지 밀집 지역, 특히 화성과 광주 등 경기 지역의 미입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