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중고차 거래, 성능·상태 점검 관련 소비자피해 여전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7-08-30 15:00


최근 차량의 품질 향상으로 내구성이 좋아지고 신차 가격에 부담을 느껴 중고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관련 소비자피해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30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중고차 매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807건이 접수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5년 367건, 작년 300건, 올해 1∼6월 140건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성능·상태 점검 관련 피해 비중은 2015년 71.7%, 작년 75.7%, 올해 상반기 80.0%로 높아지고 있다.

피해유형별로는 '성능·상태 점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가 602건(74.6%)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차량용품 제공 등 '약속 불이행' 63건(7.8%), 이전등록비 등 '제세공과금 미정산' 53건(6.6%), '계약금 환급 지연·거절' 45건(5.6%) 등의 순이었다.

'성능·상태 점검' 피해 602건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능·상태 불량'이 369건(45.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고정보 고지 미흡' 143건(17.7%), '주행거리 상이' 44건(5.5%), '침수차량 미고지' 26건(3.2%), '연식·모델(등급) 상이' 20건(2.5%) 등이 있었다.

특히, '성능·상태 불량' 369건 중에는 '오일누유'가 98건(26.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동꺼짐' 42건(11.4%), '진동·소음' 42건(11.4%), '가속불량' 41건(11.1%), '경고등 점등' 30건(8.1%), '냉각수 누수' 26건(7.0%) 등의 순이었다.

차종이 확인된 779건을 분석한 결과, 전체 중고차 매매 피해 중 '수입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27.6%에서 작년 31.0%, 올해 상반기 34.3%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778건(미결건 제외) 중 수리·보수, 환급, 배상, 계약이행 등 사업자와 '합의'가 이루진 경우는 339건(43.6%)으로 절반도 되지 않아 중고차 사업자들이 소비자피해 해결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차 매매 사업자 소재지별로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및 서울특별시를 포함한 '수도권'이 77.4%를 차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고차 구입시 ▲반드시 관인계약서를 작성할 것 ▲시운전을 통해 차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것 ▲보험개발원 카히스토리를 통해 사고 또는 침수 이력을 확인할 것 ▲시세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차량은 허위매물이거나 사고 또는 침수차인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할 것 ▲사업자가 약속한 특약사항은 반드시 계약서에 기재할 것을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마감직전토토, 실시간 정보 무료!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