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속 드러나는 대우조선해양의 행태가 점입가경이다. 정치권의 보은 인사 자리에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부실지원, 회계법인의 부실감사까지 끝이 없다. 그들만의 화려한(?) 리그가 경영정상화를 위해 투입된 국민들의 혈세로 만들어졌기에 실망감과 분노가 더 크다.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우려는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고 최근 전방위 조사로 썩을 데로 썩은 치부가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대우조선에 투여된 공적자금은 7조원이 넘는다. 전국민에게 10만원씩 지급하고도 남는 돈이다. 반대로 국민 1당 10만원씩을 대우조선해양의 회생을 위해 걷은 셈이다.
이 와중에 지난 14일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85%의 찬성률로 파업 결의안을 가결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가 파업 결의안을 들고 나온 것은 방산 부문 분리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올 하반기 인도될 해양플랜트 물량이 줄줄이 대기 중인 것과 관계가 깊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주 잔고가 바닥인 상황에서 당장 일감이 없어진 생산직 직원들이 고용 불안을 느낀 것이 높은 파업 찬성률로 이어졌다는 해석이다.
김상만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빅3 조선사들의 시장성차입금(회사채 등)을 포함한 총차입금(지급보증 제외)은 1분기말 현재 약 26조32억원으로 이중 절반인 12조7278억원이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대우조선해양이 1년 내 갚아야 할 돈이 4조955억원이다. 김 연구원은 "조선업은 국내 GDP에서 약 1.8%를 차지하며 연인원 20만명의 고용을 담당하는 주요 산업이기 때문에 산업 구조조정과정의 연착륙은 신중하고 치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실상 자체적으로 빚을 갚을 능력은 안 되지만 국가경제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또 다시 수혈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비리가 속속 들어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혈세가 들어갈 곳은 또 있다. 지난 9일 대우조선해양이 6000억원대 신규 수주에 성공함에 따라 선수금환급보증(RG) 신규 발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RG란 금융기관이 조선소에 발급하는 보증보험의 일종으로 조선사가 선박을 건조하지 못하게 되면 RG를 발급한 금융기관이 조선소를 대신해 선주에게 선수금을 지급한다.
지난해 10월 발표된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방안'에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RG 발급기관으로 무역보험공사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이 선정됐다. 금융위원회와 산업은행은 그 당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4조2000억원 지원을 결정하며 향후 신규 수주에 대한 RG발급을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가 각각 30%를 나머지 10%는 시중은행이 분담하도록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9월 임금단체협약을 이유로 전직원들에게 230만원을 포함, 노조 1인당 900만원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해 비난 받은 바 있다. 당시 시민단체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수조원에 달하는 빚을 국민의 혈세로 막고 있는 상황에서 전직원에게 수백만원에 달하는 성과급을 지급했다는 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반면 대우조선해양측은 억울하다며 "이번 격려금은 연봉 외 수당이 아닌 연봉에 포함되는 실질임금 지급"이라고 해명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임·직원 행태와 관련, 재계 관계자는 "전형적인 '주인 없는' 회사의 행태"라며 "기업과 국민이 피 땀 흘려 번 돈을 세금이라는 이름으로 뜯어내 일도 안하는 사람들이 호의호식하게 만든 꼴"이라고 비난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