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주 생전 처음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50대 자영업자 김모씨는 "힘드니까 수면으로 받으라" "그냥 해도 참을 만하다"는 주변 경험담이 엇갈려 고민 중이다. 지난 달 초기 위암 진단을 받은 80세 권모씨는 초기라서 내시경 절제술을 기대했지만, 주치의가 내시경이 불가능하다고 해 결국 개복 수술을 했다. 요즘 내시경으로 검사나 수술을 받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는데, 그만큼 궁금증도 많아졌다. 내시경에 대한 궁금증을 정리했다.
1. 내시경 검사
위내시경과 달리, 대장내시경은 수면으로 받는 게 좋다. 최명규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10명 중 1~2명은 장의 굴곡이 심해서 내시경이 들어가는 동안 극심한 고통을 겪는데, 누가 겪을 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예방 차원'에서 수면을 권한다"고 말했다.
알약 크기의 캡슐내시경은 물과 함께 삼키면 식도·위·십이지장·소장·대장 등 인체 내부를 촬영하고 8시간쯤 후에 대변에 섞여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때문에 배출 후 수거할 필요는 없다. 캡슐내시경은 '원인불명 소장 출혈'에 대해서는 건강보험이 적용돼 검사비가 10만원대로 떨어져, 소장 검사에 주로 쓰인다. 최명규 교수는 "소장은 길이가 4m에 달해 일반 내시경 검사는 4시간이 걸리는 등 힘든 점이 많아 캡슐내시경을 유용하게 쓴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야 및 화질의 한계로 진단율이 70%에 그치고, 일반 내시경과 달리 검사할 조직을 떼어낼 수 없는 등 아직 한계가 많다.
|
내시경은 입·항문 등으로 들어가는 '일반 내시경'과 피부를 째고 집어넣는 '수술용 내시경'으로 나눈다. 후자는 삽입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흉강경·복강경·방광경 등으로 다르게 부른다. 암 환자는 피부를 길게 째는 전통적인 수술보다 내시경 수술을 선호한다. 회복시 고통이 훨씬 적고 입원 기간도 짧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암을 내시경으로 수술할 수는 없다.
위암: 암조직이 위의 점막층에 국한된 초기이면 위내시경 검사처럼 입을 통해 내시경을 집어넣어 암 조직만 떼어낼 수 있다. 그러나 암이 점막하층에서도 발견되면 복강경이나 개복 수술을 받아야 한다. 초기 위암이라도 암의 위치가 다른 장기나 신경과 닿아 있는 경우, 복막내 유착이 있거나 진행성 위암인 경우 등에는 개복 수술을 한다. 서울대병원 등 14개 병원에서 1기 위암 환자 1416명을 분석한 결과, 위암 복강경 수술이 개복수술과 비교해 합병증이 35% 덜 발생했다.
대장암: 병이 많이 진행된 3기까지도 복강경으로 수술한다. 백승혁 강남세브란스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되거나 병변이 넓은 4기 이후이면 개복 수술을 해야 하며, 이 경우 수술 안정성은 개복 수술이 복강경보다 낫다"고 말했다.
간암: 간의 왼쪽 아래 생긴 암은 복강경을 많이 하지만, 간의 위쪽에 생긴 암은 갈비뼈 때문에 복강경으로 접근하기 어려워 개복을 위주로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경향이다.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간의 모든 부위에서 복강경 암 절제술을 시술하며 수술 후 입원 일수는 개복 수술보다 이틀 정도 짧았다. 또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복강경 수술이 12.5%, 개복수술은 20.4%였다.
폐암: 과거에는 초기 폐암에만 흉강경 수술을 적용했지만, 최근에는 폐암 전체에 적용하는 추세다. 김관창 이대목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일단 흉강경으로 수술하다가 늑막 유착이 심하거나 출혈이 심한 경우 등에는 가슴을 여는 수술로 전환한다"며 "개흉 수술은 갈비뼈를 자르거나 벌리고 진행하지만 흉강경은 갈비뼈를 건드리지 않아 통증이 적고 회복이 훨씬 빠르다"고 말했다.
한편, 복강경 수술은 0.5~1㎝ 작은 구멍을 3~4개 정도 뚫고 조명, 카메라, 집게, 가위 등을 넣는 '멀티포트 수술'이 일반적이다. 잘라낸 조직은 뱃속에서 가위로 잘게 쪼갠 뒤 아주 질긴 특수 비닐봉투에 담아서 뚫어 놓은 구멍을 통해 꺼낸다. 구멍을 하나만 뚫는 '싱글포트 수술'도 있다. 배꼽을 뚫고 들어가며, 구멍을 크게 뚫어야 해서 흉터는 멀티포트 수술 자국보다 크게 생긴다. 로봇 수술도 기본적으로는 내시경 수술이다. 로봇 팔에 수술기구와 카메라를 달고 내시경으로 몸 속에 집어넣은 뒤 의사가 원격조정한다. 수술 부위를 최대 15배로 확대해서 볼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집도의가 로봇 조종에 익숙해지면 정교하게 수술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립선암 등 일부 질환 외에는 일반 수술보다 예후 자체가 더 좋다는 의학적인 근거는 별로 없고, 건강보험 적용이 안돼 수술비가 훨씬 비싸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