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이통사-정부 엇갈린 통신요금 시각…수익성 우려 vs 아직 불만 높아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5-08-05 13:46


이동통신업계에서 수익성 지표로 통하는 '가입자당 매출(ARPU)'의 추이 변화를 놓고 업계와 정부 간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이통업계는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뒤 ARPU의 성장세가 꺾이자 업계는 수익성 우려를 표하고 있는 반면 정부는 유보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5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이통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의 전년 동기 대비 ARPU 평균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6.8%, 4분기 6.1%에서 올해 1분기 2.8%, 2분기 2.3%로 둔화했다. ARPU는 이통사의 전체 매출을 가입자 수로 나눈 것이다. 가입자 수가 줄거나 매출이 증가하면 ARPU가 커지는데 통상 이통업계의 사업 성장세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ARPU는 상대적으로 고가 요금제인 LTE 요금제의 확산과 데이터 사용량의 증가 덕에 꾸준히 상승세를 보여 왔다. 그러나 5월 이통 3사가 앞 다퉈 도입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ARPU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지난 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가입자들의 6월 청구서를 이 요금제 시행 전인 4월 청구서와 비교할 경우 월 평균 요금이 2770원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따지면 6.1% 수준이다.

게다가 단말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제도도 ARPU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단말기 구입 때 단말기 보조금을 받는 대신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소비자 혜택이 커 가입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때문에 이통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이통업계 한 관계자는 "3분기 ARPU의 추이를 벌써 예측하기조차 힘들다"며 "ARPU 성장세의 둔화는 신규 투자를 계속 늘려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의 시각은 다소 다르다. ARPU 증가가 소비자의 부담 증가를 뜻하는 만큼 소비자 입장에서도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ARPU의 성장 둔화를 놓고 산업계에서는 우려하고, 소비자는 여전히 불만이 높은 상황"이라며 "ARPU가 모든 산업적 정책 판단의 기준이 되는 양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