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귀울림)을 귀의 문제로만 여겨 주로 이비인후과를 찾던 환자들이 최근에는 내과와 한의원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횟수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명을 오장육부의 허와 실에 따라 기허이명, 위허이명, 신허이명, 심화이명, 담화이명, 풍열이명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의학적인 개념에서 허와 실은 기운이 부족하고 넘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기허, 위허, 신허는 모두 기운이 부족한 '허'의 개념이다. 반면 심화이명, 담화이명, 풍열이명은 '실'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허증'은 귀울림이 불규칙적이고 피곤하거나 밤에 더 증상이 심해지며 손으로 막으면 약간 편한 느낌이 드는 반면 '실증'은 귀울림이 나면서 막히는 듯하고 그 소리가 크며 손으로 막았을 때 소리가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유종철 원장은 "이명을 이처럼 허와 실의 개념으로 구분하면 이명과 함께 동반되는 난청, 두통, 어지럼증, 불면증, 안구충혈, 불안증 등 합병증까지 치료하기 좋다"고 말했다.
위허이명(胃虛耳鳴)은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을 앓고 있거나 식생활이 불규칙하거나 폭식, 폭음, 냉한 음식을 지나치게 즐겨 먹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한다. 또한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고 체질적으로 소화기 계통을 약하게 타고난 사람에게서도 나타난다.
신허이명(腎虛耳鳴)은 신장의 정혈 기능이 떨어졌을 때 생기는 이명을 말한다. 심화이명(心火耳鳴)은 과도한 긴장과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가슴 부위에 열이 뭉친 채 발산하지 못해 발생한다.
이와 관련 408명의 이명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마포소리청한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담화(35.2%), 기허(26.2%), 신허(20.3%), 심화(11.2%), 위허(7.1%) 순으로 분류된 바 있다.
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