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스포츠조선 이현석 기자]'든 자리는 몰라도 난 자리는 안다.' 대표팀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여줬던 핵심 선수들이기에 공백이 티가 났던 3월 A매치였다. 대한민국 축구 A대표팀은 25일 경기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벌어진 요르단과의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B조 8차전에서 1대1로 비겼다. 앞선 오만전에선 1대1 무승부에 그쳤던 한국은 홈 두 경기를 연속 '무승'으로 마감했다. 승점 16점(4승4무)으로 조 1위 자리를 지킨 한국은 이번 7, 8차전을 승리 없이 마쳤지만, 3위 이라크(승점 12)가 팔레스타인에 패하며 9, 10차전 중 한 경기만 비겨도 본선행을 확정할 수 있게 됐다.
|
|
공백의 결과는 뼈아팠지만, 세 선수의 영향력을 고려하면 홍명보 감독도 단순한 전술적인 선택으로 빈자리를 메우는 것이 쉽지 않다. 김민재는 수비의 핵이다. 수비 뒷공간 커버와 단단한 수비력을 갖춘 '괴물' 김민재의 존재 자체가 수비진에 안정감을 더해준다. 황인범의 경우 활동량과 패스 시도, 탈압박에서 압도적이다. 역할도 다양하다. 중원 사령관으로서 공격 활로를 뚫고, 동료의 위치까지 지정한다. 수비 가담도 적극적이다. 이강인은 플레이메이킹이 가능한 선수다. 매 경기 파이널 서드 지역에서 공격 작업의 중심으로 활약했다. 강력한 왼발도 상대를 위협할 무기다. 한 명의 부재 자체가 대표팀에 큰 타격인 선수들이다.
|
|
이현석 기자 digh1229@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