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언더스탠딩 풋볼' 보다 앞서야 할 것은 '선수 보호'다.
결국 이정효 광주 감독이 폭발했다. "파울 상황에서 안부니까 경기가 거칠어져서 결국 사고가 나잖아", "사고 나니까 그제야 경고를 주네, 경기 다 끝났는데!" 등의 말이 중계 마이크를 타고 전해졌다. 이 감독이 계속해서 격앙된 반응을 보이자, 박 주심은 옐로카드를 꺼냈다. 이 감독은 경기 후 "우리는 항상 핸디캡을 안고 싸운다. 안타깝다"고 의미심장한 말을 전했다.
K리그 관계자들은 터질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다. 최대한 흐름을 끊지 않는 것이 올 시즌 K리그1의 판정 트렌드였다. 실제 플레이 시간을 늘리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유도하겠다는 생각이었다. 심판 마다 판정 기준은 조금씩 달랐지만, 흐름을 최대한 끊지 않겠다는 기준만큼은 일괄적으로 공유된 모습이었다.
심판들은 '언더스탠딩 풋볼'을 이야기한다. K리그 뿐만 아니라 국제축구연맹(FIFA)에서도 강조하는 이야기다. '언더스탠딩 풋볼'은 전체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판정을 내려야 한다는 뜻이다. 현장에서 내린 판정을 존중하겠다는 의미기도 하다. 하지만 그 전에 앞서 전제되어야 할 것은 '선수 보호'다. 아무리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운영하더라도, 선수가 다치면 아무 소용없다. 선수 보호는 심판의 가장 큰 '의무'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