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이변의 희생양' 리오넬 메시(35·파리생제르맹)로 시작해 '축구 황제' 메시로 끝난 2022년 카타르월드컵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한국 축구도 환희의 무대였다. 2010년 남아공대회 이후 12년 만의 월드컵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조국을 위해 선수 생명까지 건 '캡틴' 손흥민(30·토트넘)의 마스크, 김민재(26·나폴리) 황희찬(26·울버햄턴) 등 태극전사들의 눈물겨운 부상 투혼 등은 영원히 잊혀져선 안되는 역사의 한 페이지다.
차기 감독 선임은 향후 4년을 어떤 목표와 철학을 갖고 대표팀을 운영하느냐를 먼저 고민해야 한다. 이에 따라 밑그림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대표선수들의 '조언'도 중요하다. 충분히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말이 '법'이 돼서는 안된다. 누구도 흘러가는 세월을 잡을 수 없다. 이번 대회에서 '96세대'가 전면에 등장했듯이 4년 후에는 어떻게 달라질지 아무도 모른다. 이강인(21·마요르카)을 필두로 한 2000년대생들도 차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고민이 담겨야 할 '거대 담론'은 없다. 누군가는 중심을 잡고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려놓아야 하지만 키를 잡은 대한축구협회는 '권력의 눈치'만 보고 있다. 아니 그럴 능력도 없다는 것이 더 맞다. 정몽규 회장이 야심차게 꺼내든 '애자일(Agile) 조직'은 민첩하지도, 기민하지도 않다. 축구협회는 예전 '박봉'에도 활력이 넘쳐났던 시절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인재'는 넘쳐나지만 서로 눈치만 보는 생명력을 잃은 조직이 된 지 오래다.
조별리그에서 모든 것을 쏟아부어 브라질과의 16강전에서 체력에 한계를 드러낸 한국 축구와는 차원이 달랐다. 그만큼 일본 축구는 치밀하고 정교했다. 한국과 일본 축구의 격차는 더 벌어졌다. 현재의 철학도, 목표도, 꿈도 없는 행보를 계속해서 이어간다면 '월드컵 16강'은 또 다시 12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