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사상 최초의 1000만 관중 시대 이듬해인 2025년.
지난해 야구장에 대거 유입된 젊은 여성팬들에 대한 시각도 엇갈렸다. 유행과 취향에 민감한 팬층. 관중 유입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긍정론과, 반대로 언제든 썰물처럼 야구장을 떠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공존했다.
하지만 우려는 기우에 그칠 전망이다. 정규 시즌 개막 이전인 시범경기부터 흥행의 불이 빠르게 붙었다.
|
|
|
시범경기 개막전이었던 8일 전국 5개 구장에는 6만7264명의 관중이 입장해 시범경기 일일 최다 신기록을 썼다. 대전 신구장 마무리 공사로 대신 치러진 청주 경기(한화-두산)는 9000석 전석이 매진됐다. 지난해 시범경기 첫날 5개 구장에 3만6180명이 모인 것을 감안하면 거의 2배 가까이 관중이 늘었다.
이틀째인 9일 일요일에는 더 많은 관중이 야구장을 찾았다. 5개 구장 합계 무려 7만1288명으로 불과 하루 만에 시범경기 일일 최다 신기록을 경신했다. 청주가 전날에 이어 9000석 매진됐고, 대구에 이어 사직도 오픈된 1만7890석이 모두 팔렸다. 지난해 시범경기 이틀째 총 관중수는 3만7682명이었다. 주말 이틀간 총 13만8552명의 구름 관중이 야구장을 찾았다. 역대 시범경기 첫 10경기 최다 관중이다. 지난해 이틀 간 10경기 관중수 합계는 7만3862명. 1년 만에 거의 두배 가까운 증가세다. 지난 시즌 막판 더 많은 젊은 팬층이 유입된 효과가 올시즌 시범경기부터 어이지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최다매진 구단이었던 인기 구단 한화 이글스가 올시즌부터 최첨단 신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 입주하는 것도 흥행가도에 호재다. 1만2000석에 불과했던 이전 구장에 비해 신 구장은 2만7명을 수용할 수 있다.
|
|
|
KIA타이거즈 최고의 슈퍼스타 김도영은 프로야구 선수로는 역대 최초로 화보 스토리북을 출간했다. 기념비적인 2024 시즌을 스토리와 함께 다채로운 화보로 꾸몄다. 야구선수 화보가 기존 잡지의 일부에 포함된 적은 있지만, 한 선수가 단독으로 화보 스토리북을 펴낸 것은 김도영이 최초다.
2024년을 돌아보면 충분히 그럴 만도 하다.
불과 3년차였던 지난해 KBO리그 최초 월간 10홈런-10도루 달성을 시작으로 최소타석 내추럴 힛 포더 사이클 등 각종 최초 기록을 새로 쓰며 40홈런-40도루에 도전했던 최고의 화제를 모은 자타공인 리그 최고 타자. 젊고 잘 생긴 훈남 청년스타의 황제 등극에 팬들이 열광했다. 1년 내내 김도영의 유니폼은 없어서 못 팔 지경이었다. 구단에 안긴 유니폼 판매 수익도 엄청났다. 성적 뿐 아니라 마케팅적인 공헌 속에 김도영은 400%라는 최고 연봉 인상률로 단숨에 연봉 5억원을 찍었다.
'김도영 선수의 잊지 못할 2024년 시즌 활약상과 일상의 모습을 팬분들과 함께 오랜 시간 기억하고자 화보 스토리북으로 펴낸다'고 취지를 알린 김도영 측은 '선수의 뜻과 화보제작 취지에 따라 판매수익금 중 상당액을 서울 아산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기부할 예정'이라며 사회공헌의 뜻도 함께 밝혔다.
|
KBO는 22일 2025 시즌 개막을 앞두고 삼립과 협업해 '크보빵'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KBO가 구단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신제품과 띠부씰(스티커)로 구성된 제품. 20일 정식 출시에 앞서 15일부터 카카오 선물하기를 통해 사전 예약 판매를 진행한다. 폭발적인 인기가 예상된다.
KBO는 "야구팬들에게 일상 속에서도 야구를 체험할 수 있는 즐거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
서울 서부를 대표하는 연고팀 키움히어로즈는 개막을 맞아 14일부터 27일까지 현대백화점 목동점 7층 보타닉하우스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키움은 '구단의 정체성을 반영한 공간 연출과 체험형 콘텐츠를 통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6년 만에 리뉴얼된 홈, 원정 유니폼을 포함, 총 7종의 신규 유니폼 실물을 최초 공개하고 마킹서비스와 함께 판매한다. 25종의 구단 MD 상품도 판매한다'고 설명했다. 팝업스토어에는 키움히어로즈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히스토리 전시 공간과 팬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도 마련돼 눈길을 끈다.
팝업스토어를 통해 큰 화제를 모은 KBO는 물론 각 개별 구단들도 야구인기에 힘입어 팬들과의 일상 속 지속적 만남을 추진하고 있다.
젊은 팬들의 대거 유입과 함께 점차 아이돌화 돼가는 젊은 야구 스타들. 이들이 곧 상품이자, 돈이 되는 야구 대중문화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그만큼 선수들로서는 더 큰 사회적 책임감으로 팬들을 만나야 할 때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