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원하늘숲길트레킹

스포츠조선

장원준, 니퍼트 파격계약, 왜 두산은 '큰 손'이 됐나

류동혁 기자

기사입력 2015-01-01 08:08


12일 오후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2014 프로야구 LG와 두산의 경기가 열렸다. 2회초 2사 2루서 LG 손주인의 타구를 유격수 김재호가 호수비로 잡아 아웃시키자 니퍼트가 환호하고 있다.
잠실=김경민 기자 kyungmin@sportschosun.com / 2014.10.12.

올해 두산으로 이적한 장원준의 올 시즌 경기장면. 스포츠조선DB

올해 두산의 스토브리그의 행보는 파격이다.

두 가지 면에서 그렇다. 일단, 두산은 외부 FA를 잡기 위해 그동안 많은 돈을 쓰지 않았다. 합리적이지만, 공격적 투자는 하지 않는 이미지가 있다.

게다가, 아시다시피 두산 모기업의 상황은 좋지 않다. 유동성 위기설이 나오고 있다. 그룹의 지원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단의 현실을 감안하면 선수 영입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를 하기 어렵다.

그런데 두산은 FA시장에서 큰 손이 됐다. 롯데에서 자유계약선수로 풀린 좌완 선발 장원준은 84억원에 잡았다.

여기에 에이스 더스틴 니퍼트를 프로야구 역대 외국인 선수 최고금액인 150만달러(약 16억4000만원)에 재계약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더욱 극적이다. 두산은 지난해 지갑을 완전히 닫았다. FA로 풀린 이종욱 손시헌 최준석과 모두 재계약하지 않았다.

결국 이종욱과 손시헌은 NC, 최준석은 롯데행을 택했다. 도대체 두산은 뭐가 달라진 걸까.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구체적인 이유를 살펴보기 전, 지난해 FA시장에서 두산의 판단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올해 더욱 강해졌지만, FA광풍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롯데는 강민호와 4년, 75억원의 대형계약을 맺었다. 이종욱과 손시헌도 마찬가지. 이종욱은 4년 50억원, 손시헌은 4년 30억원에 계약을 맺었다. 최준석은 4년, 35억원에 롯데로 갔다.

대형계약을 맺은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세 선수는 훌륭한 선수들이다. 팀 전력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두산은 당시 효율성을 세밀하게 고려했다. '그만큼의 액수를 주고 계약을 맺을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 많은 계산을 했다. 두산은 야수자원이 풍부하다. 손시헌의 빈자리에는 김재호, 최준석의 빈자리에는 홍성흔과 오재일, 그리고 외국인 타자 등 대체카드가 풍부했다. 이종욱의 자리에는 외야수 정수빈이 있었지만, 이종욱만큼 역할을 할 지는 미지수였다. 두산은 FA 세 선수 중 이종욱과 끝까지 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NC에 내줘야 했다.

이런 두산의 결정에는 호불호가 엇갈렸다. 'FA 광풍에 휩쓸리지 않은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의견과 '우승을 위한 전력보강과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를 모두 외면한 부족한 투자'라는 비판적 시선이 엇갈렸다. 세 선수의 전력 공백은 분명히 있었지만, 그렇게 큰 전력 차질은 없었다. 지난해 두산은 여전히 강한 타격과 빠른 발, 그리고 폭넓은 야수진을 보유한 강점이 있었다. 시즌 초반에는 팀 타율이 3할이 넘어가기도 했었다. 두산이 무너진 가장 큰 이유는 허약하고 불안했던 투수력 때문이었다.

2013년 두산은 한국시리즈 우승 직전에 삼성에게 무너졌다. 그리고 2014년 우승을 꿈꿨지만, 결국 플레이오프도 진출하지 못했다.

송일수 감독을 경질하고, 새 판짜기에 돌입했다. 두산 측은 과감한 투자로 변신한 이유에 대해 "이대로라면 또 다시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있었다"며 "올 시즌 확실한 선발감에는 과감한 투자를 한다는 입장이었다"고 했다. 야구에 애착이 많은 두산의 고위 수뇌부에서도 많은 지원을 해줬다.

명확한 목표는 확실한 선발 투수를 데려오는 일이었다. 그 중 좌완 선발이 부족한 두산 입장에서는 장원준이 딱 맞는 FA였다. 결국 FA 광풍 속에서도 장원준을 낙점하는데 성공했다.

당연히 더스틴 니퍼트는 못 잡으면 안되는 카드였다. 기량이 검증된 외국인 선수. 게다가 인성과 투혼까지 갖춰진 두산의 상징과 같은 선수였다. 그를 놓치면 장원준을 잡은 이유가 없어지기도 했다. 결국 두산은 니퍼트 역시 역대 최고대우로 계약을 했다. 결국 두산 입장에서는 '전력보강'이라는 효율성의 잣대 속에서 투자의 개념이 극적으로 바뀐 2013년과 2014년이었다. 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