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알 마드리드와 FC바르셀로나(이상 스페인). '시민의 힘'이 없었다면 두 팀 모두 세계를 주름잡는 '슈퍼클럽'이 될 수 없었다.
독일 분데스리가는 시민들의 구단 운영 참여를 아예 명문화 했다. 구단 전체 주식의 51% 이상을 시민주로 채워야 하는 일명 '50+1' 룰을 운영 중이다. 손흥민의 소속팀인 레버쿠젠은 제약회사 바이엘이 창단한 팀이다. 하지만 이 규정에 따라 시민주를 받아들인 케이스다. 소비자인 팬들의 운영을 최대한 반영함과 동시에, 기업 이익이나 정치적 목적을 배제하기 위한 좋은 장치로 평가할 만하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는 최근 해외 자본 유입 등으로 구단 운영에 팬들의 입지가 줄어드는 모양새다. 그러나 갑부 구단주들도 상당지분을 소유 중인 팬들의 의사를 여전히 무시할 수 없다.
프로스포츠의 천국인 미국은 시민 지지기반이 약해 '시민구단의 불모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식축구(NFL) 그린베이 패커스는 인구 10만명의 그린베이 시민 전체가 구단 지분을 공유하며 따로 구단주를 두지 않는 특수한 형태로 운영한다. 자금력은 빈약하지만, 유능한 경영자와 프런트, 이를 감시하는 주주들의 철저한 감시가 이뤄지면서 성공적인 팀 운영을 하고 있다.
결국 시도민구단은 시민이 이끌어야 한다. 구단의 노력 만으로 관심을 끌기엔 한계가 있다. 팬들이 앞다퉈 시즌권을 구매하고 끊임없이 경기장을 가득 메우면 구단은 힘이 생기고 관심도 점점 커지기 마련이다.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