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동킥보드 사고가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사)한국퍼스널모빌리티산업협회가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개인형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 이하 PM) 이용량 및 사고 현황에 대한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 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PM 이용자는 매년 증가하지만사망자 및 부상자는 감소하거나 전년(2022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PM 운영대수 및 이용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 시스템(TAAS)의 국내 사고 현황 데이터를 분석하면 PM(개인 소유 및 공유형 합산)이 가해 차종 사고 건수는 2022년과 2023년 거의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사망 및 부상자수는 2023년 각각 7.7%, 2.3% 감소했다. 아울러 PM과 보행자 간의 사고 건수 역시 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이는 2021년 대비 2022년 PM-보행자 사고 건수가 57% 증가한 것과는 대비된다.
PM의 안정성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 PM과 유사한 개인형 이동수단 간 사고 비중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자전거오토바이 등 개인형 이동수단 전체 사고 중 PM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작았다. 이는 아직 보급대수가 자전거오토바이에 비해 적고 운행시간이나 거리가 짧기 때문으로 보인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7년간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 시스템 분석 결과, 이륜차(배기량 125cc 초과 오토바이)로 인한 사고가 64.6%로 가장 높았다. 자전거와 원동기장치자전거가 각각 23%와 9.1%로 그 뒤를 이었다.PM의 사고율은 전체의 약 3.3%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PM의 사고 치사율은 1.11%로, 자전거 사고 치사율 1.49% 보다 낮았다.
이 외에도 2023년 전체 사고 중 승용차가 가해운전자인 경우의 비중은 66.5%인데 PM 비중은 1.2%에 불과했다. 이륜차 7.2%, 자전거 2.6% 였다.한국PM산업협회 측은 “PM 이용자 수는 매년 확대되지만PM을 보다 안전하게 타는 이용자가 많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