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속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복부 대동맥류가 간암, 췌장암, 폐암, 백혈병을 비롯해 치매와 우울증 발병 위험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대동맥류의 경우 직경이 정상혈관(직경 2㎝)보다 1.5배 이상 커진 경우 진단하며, 직경이 5㎝를 넘어설 경우 파열 가능성이 높아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인데다 발병 후 특별한 증상도 없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파열되면 치료 전에도 사망 위험이 높기 때문에 '뱃속의 시한폭탄'으로도 불린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복부 대동맥류를 진단받은 환자 1만 4920명과 나이와 성별이 일치하는 건강한 성인 대조군 4만 4760명을 대상으로 50여 가지 암의 발병 위험도를 비교 조사했다.
조사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암(1.38배), 췌장암(1.43배), 폐암(1.39배)의 발병 위험도가 높았고, 치료를 위해 복부 대동맥에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 백혈병 발병 위험(3.84배)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조형진 임상강사는 "복부 스텐트 삽입술 환자의 백혈병 발병 위험이 현저히 증가하는 원인은 시술 과정에서 경험한 방사선 피폭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부 대동맥류와 치매, 우울증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인구 1000명당 치매 발병빈도는 환자군 23명, 대조군 15.4명으로 차이를 보였다. 치매 발병 위험도는 질환에 따라 편차를 보였는데,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의 위험도는 1.38배,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의 경우 1.78배로 나타나 복부 대동맥류가 혈관성 치매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울증의 경우도 여타의 연구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환자군의 우울증 발병 위험은 대조군에 비해 1.4배 증가했으며 특히, 65세 미만 환자군의 위험도(1.54배)가 65세 이상 환자군(1.27)배에 비해 조금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김미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알지 못했던 복부 대동맥류 환자들의 정신건강적인 측면을 비롯해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황정기 교수(교신저자)는 "연구를 통해 획득한 결과들이 향후 복부 대동맥류의 치료 과정과 치료 후 경과 관리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후속 연구를 통해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들은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팀과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연구팀이 발표한 3편의 연구결과는 혈관외과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미국혈관외과학회지 'Journal of Vascular Surgery'를 비롯해 세계적 과학 학술지인 'Nature'의 자매지 'Scientific Reports', 외과학 국제학술지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최근호에 각각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