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유방암 생존율 높아졌지만 치료 후 심혈관질환 주의"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8-29 09:22 | 최종수정 2022-08-29 09:22


유방암은 3대 여성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유방암은 유전적 요인과 고지방식, 음주, 흡연, 환경 호르몬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엔 늦게 결혼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출산과 수유기가 늦춰지거나, 미혼 여성이 늘면서 유방암 발생률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발병률은 높아졌지만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은 크게 높아지는 추세다.

2019년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유방암은 전체 암환자의 12%를 차지해 네 번째로 많은 암이었으며, 여성 중에서는 갑상선암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그나마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은 계속 증가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상대생존율은 93.6%에 달한다. 상대생존율은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를 보정한 생존율이다.

하지만 유방암 환자들은 안심할 수만은 없다.

유방암 치료과정에서 심혈관질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유방암은 수술과 함께 방사선요법과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은데 방사선요법 시 특히 심장이 있는 왼쪽 가슴이 치료범위에 포함될 경우 심혈관질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하는 항암제인 안트라사이클린과 트라스주맙은 심장근육을 손상시0키고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들은 암 치료 후에도 심혈관질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의료진들은 추가 치료를 결정할 때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살펴야 한다.


이런 가운데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한성우·김도영 교수, 가톨릭의대 윤종찬 교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김성해 교수 공동연구팀은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발병 가능성을 미리 알 수 있는 예측모델을 개발해 환자 관리에 적용하고 있다.

연구팀은 2005년 1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치료받은 1256명을 분석했다. 기존에 알려진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령, 비만, 신장기능 저하, 이전에 진단받았던 심혈관질환의 병력과 더불어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인 안트라사이클린 항암제 용량, 왼쪽 유방에 대한 방사선요법 등을 반영한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유방암 치료 후 심혈관질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위험점수 모델의 개발 및 검증'이라는 이 연구는 SCIE급 국제저널인 '미국심장협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개발된 예측모델에 따르면 고위험군의 경우 유방암 치료 7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17%로 나타났지만, 저위험군의 경우 같은 기간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0%에 가깝게 나타났다.

한성우 교수는 "예측모델을 통해 일차적인 유방암 치료 후 추가적인 치료법을 결정함에 있어서 향후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환자들에 대한 좀더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도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존에 알려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 유방암 치료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결합한 향상된 예측모델을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림대학교의료원의 임상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스마트 CDW(Clinical Data Warehouse)'를 이용해 이뤄졌다. '스마트 CDW'는 수십년 간 축적된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5개 병원의 다양한 임상연구 빅데이터를 손쉽게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의료진들의 연구논문 작성과 환자 진료시스템 개선 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한성우 교수(왼쪽)와 김도영 교수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