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에서 가장 비호감을 주는 비매너 행동은 말없이 불참하는 '노쇼'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대기업은 노쇼 지원자를 꼽은 비율이 56.5%였으나, 중소기업은 73.5%로 대기업보다 17%p 높았다.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노쇼 지원자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비매너 지원자의 비율은 전체 지원자 중 평균 26.6%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형태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28.6%)의 비매너 지원자 비율이 대기업(17.2%)보다 11.4%p 높았다.
아울러 전체 응답 기업의 대부분인 94.4%는 지원자의 면접 매너가 합격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면접 매너가 합격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인성도 중요한 평가요소여서'(74.2%, 복수응답)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밖에 '매너가 사회생활의 기본이어서'(25.4%), '사람을 상대하는 업무라서'(16.8%), '입사 후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어서'(13.5%), '회사의 인재상과 맞지 않아서'(7%) 등이었다.
이들 중 절반 이상(52.1%)은 비매너 지원자에 대해 '무조건 탈락'시킨다고 밝혔으며, 46.6%는 '감점 처리'하고 있었다.
또, 78.7%는 역량이 우수함에도 면접에서 떨어뜨린 지원자가 있다고 답했다.
한편, 전체 기업들 중 44.2%는 과거에 비해 최근 면접 비매너 지원자의 비중이 '늘어난다'고 응답했다. '차이가 없다'는 응답은 40.5%였으며, '줄어든다'는 답변은 15.3%에 그쳤다.
기업 형태별로 보면, 대기업은 '비매너 면접자가 늘어난다'는 응답이 29.4%였으나, 중소기업은 47.4%로 18%p 높았다. 반면, '비매너 면접자가 줄어든다'는 답변은 대기업이 25%, 중소기업이 13.1%로, 중소기업이 비매너 면접자를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