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인이 알고 있는 손목터널증후군은 손을 좀 무리해서 생기는 혹은 사무직처럼 마우스나 키보드 활용이 잦은 사람들이 겪는 손목 근육통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손목터널증후군은 손의 감각과 기능을 관장하는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생기는 신경병증이다.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은 전문적인 수부 기구/기능 재활치료로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중등도 이상으로 손상이 진행된 경우 빠른 수술이 필요하다. 부담과 두려움으로 수술을 차일피일 미룰 경우 손상 된 신경이 회복되지 않아 손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보편적인 수술은 정중신경 주행경로를 광범위하게 절개하거나 손바닥 부위에 2~3cm 피부를 절개하는 개방형 수술로 진행된다. 따라서 수술 후 통증뿐 아니라 절개부위 창상 회복 및 감염 예방을 위해 입원 및 수 일간 손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뒤따른다.
그러나 수부외과 전담팀 체계로 SCI 저널 KSSTA 논문심사위원 및 국제정형외과 학회 수부세션 공식 발표자에 선정 등 국내 수부질환 치료 선도형 의료기관으로 꼽히는 연세건우병원(병원장 박의현) 수부전담팀은 직경 1mm 정도의 초소형 수부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유리술을 도입하여 위 같은 치료 부담 개선에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치료 결과는 어떨까? 지난 5년간 연세건우병원 수부팀에서 밝힌 내시경 유리술 시행환자의 장기 추시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환자의 평균 입원기간은 0.6일 이었으며 수술 후 사고, 부상 등 외상요인을 모두 포함해도 재발을 비롯한 합병증 발생률은 1% 미만에 우수한 임상예후를 보였다.
지난 10년간 손목터널증후군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익숙해졌을 만큼 인지도는 높아졌으나 여전히 정확한 원인과 치료 방법이라는 인식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끝으로 문홍교, 이상윤 원장은 "진료 현장에서 만나는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의 상당수가 여전히 중등도 이상이라며 환자들이 손목에 지속적인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있다면 부담 없는 보존치료가 가능할 때 빨리 병원을 찾아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한화 무더기 2군행...김태균은 빠진 이유 [크보핵인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