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행복 지수 순위가 수십년간 '제자리걸음'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소득 격차는 벌어졌고, 건강은 좋아졌지만 안전에 관한 행복도는 크게 낮아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물렀다는 학계의 분석이다.
물질적·사회적 기반에 관한 분야에서 한국의 순위는 약 30년 전과 같았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났다.
우선 1990년에 OECD 28위였던 소득 수준은 2017년엔 20위로 여덟 계단 올라섰다. 1인당 GDP가 1990년 6516달러에에서 2017년 2만9743달러로 급증한 영향이다. 건강 지표 순위도 기대수명이 늘어나며 26위에서 10위로 급상승했다. 반면 안전에 관한 지수는 1990년 15위로 중위권이었으나 2017년 최하위권인 30위로 떨어졌다. 심리적인 안전 수준이 다른 선진국보다 나빠졌고, 자살률도 올라갔기 때문이다. 주거에 관한 지수도 22위에서 24위로 밀려났다.
아울러 물질적·사회적 격차에 관한 분야에서 한국인의 행복수준은 1990년 29위에서 2017년 30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소득격차는 1990년 21위에서 2017년 27위로 여섯 계단 내려왔다. 국민들의 전체적인 소득 수준은 높아졌지만, 격차가 벌어지며 전체적인 행복도를 깎아내린 셈이다. 연구진이 한국, 칠레, 멕시코, 폴란드처럼 행복수준이 하위권인 국가로 좁혀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나 일자리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격차도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격차는 1990년과 2017년 모두 조사대상국 가운데 꼴찌인 31위로 나타났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