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내 휴대폰 생산량 감소세…중국 등 동남아는 증가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8-10-23 13:55


국내 휴대폰 생산량이 최근 10년 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생산량은 10년 전 대비 80% 가까이 줄었다. 반면 중국 등 동남아 국가의 휴대폰 생산량은 크게 증가했다.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기지를 이전한데 따른 결과다.

23일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해 국내에서 생산된 휴대폰은 총 2500만대로 추정된다. 2008년 1억3600만대와 비교하면 18.4% 에 불과한 수치다.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량에서도 국내 생산량 비중은 11.4%에서 1.3%로 줄었다. 다만 올해 국내 스마트폰 전체 생산량은 글로벌 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2008년 11억9500만대보다 증가한 19억4900만대로 증가했다.

국내 휴대폰 생산량이 가파르게 줄어드는 동안 중국, 인도,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지역 내 휴대폰 생산량은 큰폭으로 증가했다.

2008년 휴대폰 생산량이 6억2200만대였던 중국은 올해 13억7200만대를 생산해 전체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전망이다.

인도 생산량은 2008년 6000만대에서 올해 2억6400만대로 늘었고, 2013년까지 휴대폰 생산량이 전무했던 베트남은 올해 1억8800만대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휴대폰 생산량 편중이 심해진 것은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비용을 이유로 중국을 거쳐 인도,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옮겨갔기 때문이다.

10년 전 휴대폰 수천만대를 생산했던 독일(2700만대), 핀란드(9400만대), 일본(3300만대), 대만(3000만대), 브라질(6600만대), 멕시코(4200만대), 헝가리(4300만대)도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중 독일, 핀란드, 헝가리 생산량이 10만대 이하로 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어졌고, 일본이 900만대, 대만 300만대, 멕시코 400만대 등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이다.


SA 측은 "전 세계 휴대폰 생산량이 중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집중되고 있다"며 "정부 지원 및 세제 혜택으로 인도 생산량도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남북교류 특별페이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