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대기업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시 생산현장이 가장 큰 애로"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8-06-06 15:36


대기업들은 주당 최대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생산현장인 공장이 가장 애로를 많이 겪는 곳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 112곳을 상대로 제도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응답한 기업의 55.4%(62곳)는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19.6%(22곳)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영향이 없다는 응답도 25.0%였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복수응답)는 72.3%(81곳)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이어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 부서(13.4%)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으로는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74.1%)이 가장 많았다. '신규 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 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가 뒤를 이었다.

생산성 향상을 주요 대책으로 답한 기업(83곳)에 다시 구체적인 대책을 질문한 결과(복수응답) 사무·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는 '유연근무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 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차례로 제시했다.

또한 생산현장의 경우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 전환 배치'(22.9%) 등의 응답이 있었다.


근로시간 단축이 노사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영향(58.9%), 긍정적 영향(24.1%), 영향 없음(17.0%)을 각각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의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준비 정도는 '현재 준비 완료'가 16.1%, '7월 1일 이전 사업장 적용'이 23.2%, '7월 1일까지 완료 예정'이 48.2%, '7월 1일 이전 준비 완료 미정'이 8.9%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