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9곳은 오는 7월 도입될 예정인 포괄임금제 규제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특히 포괄임금제 규제로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직종으로는 '제조·생산'(34.5%)이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서비스'(10.9%), '영업·영업관리'(10.6%), '연구개발(R&D)'(9.3%), 'IT·정보통신'(7.5%), '인사·총무'(6.1%)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절반 이상인 56.7%는 '포괄임금제를 적용 중'이라고 답했다.
이들 기업은 포괄임금제를 도입한 이유로 '사무직의 경우 근로시간, 휴식시간 측정이 어려워서'(40.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업·직종 특성상 시간 외 업무가 자주 있어서'(40.2%)가 근소한 차이로 2위에 올라 근로시간 관리의 어려움이 도입 이유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로는 '인건비에 대한 부담이 있어서'(32.2%), '임금 계산이 편리해서'(27.6%) 등이 있었다.
아울러 포괄임금제 규제에 대비하고 있다는 기업은 과반 이상인 75.1%로 조사됐다.
그 방법으로 '초과근무시간 제한'(44.1%, 복수응답)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초과, 연장근무 수당 산정 기준 마련'(33.1%), '탄력, 유연근로제도 도입'(30.8%), '야근 결재 제도 도입'(19.7%), '기존 연봉 감축(연봉에 포함된 야근, 특근 등 수당 제외)'(18.7%), '계약직 근로자 채용 확대'(10.7%) 등을 들었다.
한편, 과반 이상의 기업이 포괄임금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규제가 필요하나 시기상조다'(38.9%)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포괄임금제 규제는 필요하다'(35.6%), '국내 경영 환경에 안 맞아 불필요하다'(25.5%)의 순이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