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 속에서 신입사원 10명 중 4명은 입사 1년 내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기업들의 전체 신입사원 중 조기퇴사자의 비율은 평균 44%로 집계됐다. 자세히 살펴보면 '20%'(16.4%), '50%'(15.8%), '30%'(15.2%), '10% 이하'(15.2%) 등의 순이었으며, '90% 이상' 퇴사했다는 응답도 13.5%에 달했다. 재직 기간은 평균 4.4개월이었다.
조기퇴사가 많이 발생하는 직무는 '제조/생산'이 3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영업/영업관리'(18.1%), '서비스'(14%), '디자인'(8.8%), '연구개발'(8.8%), '구매/자재'(7.6%), '재무/회계'(7.6%), '인사/총무'(7%) 등이 있었다.
반면, 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힘든 일을 하기 싫어하는 등 인내심 부족'(49.1%, 복수응답), '직업의식 부족'(29.8%), '이상과 현실의 괴리'(29.2%), '묻지마 지원으로 인한 성급한 취업'(28.1%), '책임감 낮음'(25.1%), '조직생활 적응력 부족'(24.6%), '연봉, 복지 등 기업 경쟁력 부족'(18.7%), '높은 업무 강도'(11.7%) 등을 선택해 직원들과 차이를 보였다.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에 따른 피해로는 '추가 채용으로 시간, 비용 손실'(74.9%,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실제로 퇴사자 발생 후 다시 채용을 실시한 기업은 88.9%에 달했다.
이외에도 '기존 직원의 업무량 증가'(39.2%), '잦은 채용으로 기업 이미지 실추'(33.9%), '기존 직원의 사기 저하'(32.7%), '교육비용 손실'(32.7%), '인력 부족으로 해당팀 성과 저하'(18.1%) 등의 손해를 입고 있었다.
조기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수습, 인턴제 실시'(34.5%,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멘토링 시행'(31.4%), '초봉 인상 등 근무조건 개선'(29.2%), '연수 및 교육 실시'(21.4%), '복리후생제도 강화'(20.5%), '기업 철학, 비전 등 상시 공유'(19.3%) 등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신입 채용 시 근속 가능성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에는 '당락 결정에 영향', '가점 등 우대'라는 답변이 87%(각각 51.9%, 35.1%)로 '평가와 무관'하다는 응답(13.0%)보다 6배 이상 많았다.
신입사원 채용 시 근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 1위는 '적극성 등 면접 태도'(55.6%, 복수응답)였다. 다음으로 '장기근속자 성향과 비교'(30.1%), '지원동기'(25.5%), '입사 후 포부'(16.5%)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자신에게 맞는 업무와 기업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새로운 일과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단시간에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현재 맡은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최선의 노력을 다해본 후 결정하는 것이 커리어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