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헬스칼럼]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생겼을 때 대응은?

조완제 기자

기사입력 2016-03-20 14:11


지난주 임플란트를 심고 5년간 병원을 오지 않던 환자가 내원했다. 최근에 잇몸이 붓고 가벼운 통증이 느껴진다고 했다. 방사선 사진을 찍어 보니 두 개의 임플란트 중에서 앞에 있는 임플란트 주변으로 뼈가 많이 녹아 있었다.

응급 진료이므로 바로 보철물을 풀어냈는데 하나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abutment·받침대)를 연결하는 스크루가 풀려 있었다. 이런 상태로 오래 방치되면서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 사이에 작은 충격이 생기면서 염증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독과 함께 약을 처방한 뒤 임플란트 주위염을 수술하기로 결정했다. 환자가 시간이 없고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미루기를 원했지만 이런 경우 염증을 가라앉힌 뒤 빨리 수술을 해 뼈가 녹아가는 현상을 막아주고, 뼈가 재생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는 물론이고 이를 수술한 치과의사인 나 자신도 한번 심은 임플란트가 평생토록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되기를 바라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불행히도 크고 작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이 중에서 약 3% 정도는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새로 임플란트를 심어야만 문제가 해결된다.

필자는 임플란트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시행하고 있다.

①임플란트 보철후 1~2주/3~4개월/6개월의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한다.

②검사에서 교합을 가장 중요하게 보며 그 다음에 임플란트 주변 잇몸조직의 건강을 체크한다.

③고(高)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임플란트 환자(중등도 이상의 치주질환·당뇨·방사선 치료를 받거나 현저히 건강 상태가 떨어지는 환자, 치태 관리가 잘 안 되는 환자)의 경우는 정기 검진을 3개월마다 시행한다.


④이갈이 습관이 있거나 교근의 힘이 지나치게 강한 경우 임플란트 교합은 약간 약하게 만들며 필요한 경우 나이트가드(night guard)를 만든다.

⑤방사선 사진에서 뼈의 소실이 발견되거나 염증이 생겨 붓는 경우 약을 처방해 염증을 가라앉힌 후 가급적 빨리 임플란트 주위염 수술을 시행한다.

⑥대개의 경우 수술 후 안정될 때까지 보철물을 사용하지 않게 하고 새로 형성되는 잇몸에 맞춰 보철물을 수정한다.

⑦임플란트 주위염 수술 후 3개월마다 방사선 사진을 찍으면서 다시 뼈의 재생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본다.

임플란트는 치아가 상실된 후 이를 회복하는 가장 좋은 대안이지만 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치아를 관리하는 것 못지않은 노력과 주의가 요구된다. 그래서 정기적인 검진이 치아의 경우보다 더 필요하며 염증이 뼈로 진행되는 경우 임플란트 주위염에 대한 즉각적인 수술을 해야 한다. 글·이호정 서울순치과 원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