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기업들 보유한 금액 전년보다 13.4% 늘어나

박종권 기자

기사입력 2016-02-21 16:01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돈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의 '통화 및 유동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시중통화량(M2) 잔액(원계열 기준) 2247조3000억원 가운데 기업이 보유한 금액은 590조7000억원으로 이는 전년 말(520조9000억원)보다 13.4%(69조7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올해 M2 증가율은 지난 2009년(16.4%)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또 지난해 M2(연말잔액 기준)의 전체 증가율 8.2%보다 기업 증가율이 훨씬 높고 가계 및 비영리단체 증가율(6.5%)의 2배 수준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M2는 2014년 말 1126조4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199조6000억원으로 1년 사이에 73조원 가량 늘었다. 시중통화량에서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크지만, 증가 속도에선 기업에 훨씬 빠르게 돈이 유입된 셈이다.

특히 지난해 기업이 은행에 맡긴 돈이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업이 국내 은행에 예금한 잔액은 348조원으로 1년 전보다 8.3%(26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의 은행예금 증가율은 2014년(3.4%)보다 높고 2011년(10.5%)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다.

이런 지표는 실물경제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기업들이 부동자금을 늘리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또한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투자는 4%, 설비투자는 5.2%로 각각 증가해, 투자지표가 나쁘지 않지만 일부 기업들이 유동성이 큰 현금성 자금을 많이 쌓아둔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기업들이 돈을 쌓아두면서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다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9월 더불어민주당 김현미 의원이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1835개 기업을 전수조사한 결과, 연간 투자 규모는 2008년 112조4000억원에서 2014년 112조2000억원으로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이들 기업들의 사내유보금은 같은 기간 326조원에서 845조원으로 519조원(158.6%)이나 증가했다.


박종권 기자 jkp@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