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해마다 2만여명에 가깝다. 이는 전체 사망자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단일 장기로 따지면 만성 간질환은 뇌혈관질환에 이어 사망 원인 2위다. 특히 40~50대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B형간염이 약 70%, C형 감염이 약 10~15%를 차지하고 있다.
일명 '유행성 간염'으로도 불리는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급성간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젊은 층에게서 발병률이 높아 2011년 국내 발생건 수 중 76%가 20~30대에 발생했다. A형 간염은 먹을거리나 감염된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서 전염된다. 일반적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섭씨 85도 이상에서 1분만 가열해도 사라지기 때문에 끓인 물을 마시거나 충분히 익힌 음식을 섭취하고 항상 손을 깨끗이 씻는 위생관리가 중요하다. A형 간염은 적절한 영양 섭취와 안정을 취하는 것 외에 아직까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므로, 예방백신을 접종받는 게 도움이 된다.
감염수 제일 많은 B형 간염
백신없는 C형 간염
C형 간염 바이러스(HCV)는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뒤이어 국내 만성 간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일단 감염되면 55~85%가 만성화된다. 몸 안에서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수십년간 감염 상태가 지속된다. 20~30%는 간경화·간부전으로 진행하고, 2~5%는 간암으로 발전한다. 따라서 C형 간염은 치료 시기가 중요하다. 빨리 치료할수록 완치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C형 간염은 증상이 거의 없고, 국가 검진 등에 포함되지 않아 자신이 이 병에 걸렸는지도 모르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직까지 C형 간염 바이러스는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못했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C형 간염 치료제가 잘 들어 완치율이 높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관계자는 "간염을 이겨내는 해답은 정기검진이다"며 "정기검진은 최소 6개월에 한 번씩 받고, 정기검진을 받을 때에는 간 효소수치 검사와 바이러스 정량검사, 복부초음파 검사,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특히 복부초음파 검사와 혈청 알파태아단백검사는 간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검사로 빠뜨려서는 안 되는 중요한 검사이다"고 설명했다.
나성률 기자 nas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