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회 축구 선배들의 선택은 또다시 신태용이었다.
협회는 4일 파주NFC(국가대표트레이닝센터) 2017년 제6차 기술위원회를 열고 신태용 20세 이하(U-20) 대표팀 감독을 A대표팀 신임 사령탑으로 선임했다. 지난달 15일 울리 슈틸리케 전 A대표팀 감독이 물러난 지 20여일 만이다. 신 감독은 한국축구의 위기 때마다 소방수의 소명을 마다하지 않았다. 2015년 2월, 고 이광종 감독의 바통을 이어받아 2016년 브라질올림픽 감독으로서 8강에 올랐다. 2016년 11월, 안익수 감독의 바통을 이어받아 2017년 20세 이하 월드컵 감독으로서 16강을 기록했다. 2017년 7월, 다시 슈틸리케 감독의 바통을 이어받게 됐다. 2018년 러시아월드컵행을 이끌 적임자로 선택됐다. 8월 이란과의 홈경기, 9월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전 등 2경기에서 반드시 한국축구를 구원해야 할 '소방수 사령탑', 신 감독의 3번째 도전이다.
|
신태용 "도전에 응하는 것은 내 운명"
올림픽대표팀, 20세 이하 대표팀에 이어 A대표팀까지, 세번째 구원 등판이다. 현직, 전직 지도자를 통틀어도 전무후무한 이색 경력이다. 신 감독은 20세 이하 월드컵 직후 인터뷰에서 '소방수' 역할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도전에 응하는 것은 '내 운명'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크다. 축구협회에 있는 선배님들이 믿어주시니까 감사히 받아들인다. '저놈이 들어가면 채워줄 것'이라는 믿음이 없으면 쉽게 주지 못하는 자리다. 나는 그런 믿음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A대표팀 사령탑은 감독들의 무덤이다. 차범근, 조광래, 최강희, 홍명보까지 한국축구의 역사를 쓴, 내로라하는 감독들이 대표팀 사령탑을 역임하며 크고 작은 상처를 떠안았다. 이 때문에 '젊고 영리한' 신 감독의 도전을 말리는 이들도 많았다. 신 감독 본인은 다르다. 부담스러운 '독이 든 성배' 콜에 늘 흔쾌히 응해왔다. A대표팀 하마평에 오르내릴 무렵 신 감독은 "도전은 재밌잖아"라고 했다. 주어진 도전을 마다하지 않는다.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도 크게 온다. 인생이 매일 평평하면 무슨 재미가 있나." 그의 지론이다.
기성용, 이청용, 손흥민 등 2014년부터 수석코치로 함께했던 A대표팀 선수들과 분위기를 누구보다 잘 안다. "(A대표팀 감독을) 하라고 하면 기꺼이 하면 된다. 20세부터 35세 선수까지 모두 알고 있다. 2년 동안 함께 동고동락했던 선수들이니까"라며 자신감을 표했다.
이날 선임 직후 영상 인터뷰에서 신 감독의 일성은 선수들을 향한 믿음이었다. "우리나라 축구와 우리 선수들이 9회 연속 월드컵 진출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 선수들이 사명감과 자신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힘만 합친다면 '우리는 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그래서 감독직을 수락하게 됐다."
|
|
|
기술위가 신태용 감독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김호곤 기술위원장은 "소통 능력"을 이야기했다. "그동안 대표팀은 선수들과 지도자의 소통 문제가 컸다. 한 덩어리가 안 됐다. 신 감독이 이른 시일 안에 소통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를 표했다.
선수단 내부 결속뿐 아니라 기술위와의 소통도 염두에 둔 모양새다. 신 감독이 연령별 대표팀을 이끌 당시 지적된 수비 불안 문제에 대해서는 "연령별 대표팀과 성인대표팀은 다르다. 신 감독도 이점을 인지하고 있다. 기술위가 신 감독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수비력을 안정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많은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다. 간섭보다는 조언하겠다. 협회 조직을 잘 가동해 상대 팀에 관한 전력을 잘 파악하겠다"고 덧붙였다.
슈틸리케 감독 때와는 달리 김 위원장과 K리그 감독 및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술위 '선배'들의 적극적인 조언과 협업이 예상된다. 특히 김 위원장과 신 감독의 인연은 같하다. 막역한 사제지간이다. 인연은 2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대표팀에서 김 감독은 코치, 신 감독은 선수였다. 같했던 사제 관계는 30년이 다 되도록 끈끈하게 이어지고 있다.
김호곤 위원장이 울산 현대 감독, 신태용 감독이 성남 일화 감독이던 시절, 치열한 승부를 앞두고도 늘 축구 수다 삼매경에 빠졌을 만큼 절친하다. 김 위원장은 언젠가 신 감독에 대해 묻는 질문에 "진짜 남자다운 친구다. 제자라고 생각하는 후배들이 많지만 신 감독은 특별하다"고 평했었다.
기술위의 '40대 지도자' 하석주 아주대 감독, 서정원 수원 감독, 황선홍 서울 감독, 김병지 스포츠문화진흥원 이사장 등과도 형제처럼 스스럼없이 지낸다. 기술위와 신 감독과의 원활한 소통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날 기술위에 참석한 기술위원 중 한 감독은 "한국 축구의 위기에서 40~50대 지도자들의 역할론에 대한 자성이 있었다. 젊은 지도자, 전문 지도자들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신 감독이 중임을 잘 해내리라 믿는다. 기술위원들을 비롯한 축구계 전체가 똘똘 뭉쳐 위기를 타개해 나가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