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6번째 월드컵' 홍명보 감독 축구 인생 걸었다

김성원 기자

기사입력 2014-06-13 07:46


2014 브라질월드컵 대표팀이 12일 오전(한국시간) 브라질 캠프인 이과수의 플라멩고 스타디움에 도착해 첫 훈련에 돌입했다. 홍명보 감독이 슈팅훈련을 하는 박주영과 대화를 나누며 웃고 있다.
대표팀은 이과수 베이스캠프에서 현지 적응을 마친후 18일(한국시간) 꾸이아바로 이동해 러시아와 첫 경기를 치른다.
이과수(브라질)=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4.06.12/

21세 때 처음 월드컵 무대를 밟았다.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이었다. 1무2패로 쓸쓸히 발길을 돌렸다. 1994년 미국월드컵에선 수비와 미드필더를 오가면 2골을 터트렸다. 그러나 2무1패로 짐을 쌌다. 1998년 프랑스월드컵도 고난의 무대였다. 1무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월드컵은 항상 벽에 부딪히고 넘을 수 없는 큰 산으로 느껴졌다. "월드컵은 또 지는 경기를 하는 무대구나"라는 아픔을 토로했다. 반전은 선수 인생의 황혼기인 33세 때 이루어졌다. 2002년 한-일월드컵이었다. 주장 완장을 찬 그는 대한민국에 4강 신화를 선물했다. 스페인과의 8강전에선 승부차기 마지막 키커로 나서 4강행의 마침표를 찍었다. 현역 인생이 곧 월드컵이었다. 1990년 이탈리아월드컵을 필두로 2002년 한-일월드컵까지 한국이 치른 17경기에 연속 선발 출전했다. 앞으로도 깨지기 힘든 기록이다.

2014년 브라질월드컵이 13일(이하 한국시각) 개막됐다. 홍명보 월드컵대표팀 감독(45)의 6번째 월드컵이 시작됐다. 사령탑으로는 첫 월드컵이다.

현역 은퇴 후 행정가 수업을 받던 그는 2005년 현장으로 돌아왔다. 2006년 독일월드컵의 지휘봉을 잡은 아드보카트 감독이 '자연인 홍명보'의 마음을 돌려놓았다. "이 길이 내가 걸어야 할 길이라면 피하고 싶지는 않다. 선수 시절 쌓아놓은 명예가 한순간에 무너지는 한이 있더라도 받아들이겠다." '코치 홍명보'의 출사표였다. 아드보카트 감독을 보좌하며 독일에서 1승1무1패를 기록했지만 아쉽게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10년 남아공월드컵을 건너 뛰었다. 돌고 돌아 다시 월드컵이다. 그는 지난해 6월 브라질월드컵대표팀 감독에 선임됐다. 1년이 흘렀다. 전임 감독 시절의 일이었던 '기성용 SNS 논란'을 시작으로 고행의 길이었다. 하지만 단 한 차례도 중심을 잃지 않았다. 최근 튀니지(0대1 패)와 가나(0대4 패)와의 평가전에서 잇따라 패하며 먹구름이 가득하다. 주변의 시선도 곱지 않다. 그러나 그의 시계는 조별리그 1차전(18일 오전 7시)을 향해 가고 있다. 본선에서는 다를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감독은 고독한 자리고, 세상의 평가는 늘 냉정하다. 예전에는 좌절보다 환희가 더 많았지만 수명은 길지 않았다. 금세 사라졌다.

홍 감독은 브라질월드컵에서 다시 한번 그의 축구 인생을 걸었다. "2005년 코치 시절부터 지금 월드컵 감독까지 대표팀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쉽지 않았지만 그 동안 쌓아왔던 모든 것을 걸었다. 경험했던 지식과 앞으로의 지혜로 몸과 마음을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을 위해 불사르겠다." 지난해의 취임 일성이었다.


지난달 30일 장도에 오르기 직전에는 "1년 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한 이후 출국하는 이 시간을 기대했다. 부족했던 점을 정리해 침체돼 있는 대한민국을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시간이 흘렀다. 홍 감독은 선수단을 이끌고 12일 '결전의 땅' 브라질에 입성했다. "그동안 몇번의 월드컵 참가 기회를 가졌었다. 항상 끝나고 나면 후회되는 점이 많이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월드컵 역시 후회없이 치르기를 원하고 있다. 선수들 뿐만 아니라 원팀이 돼서 월드컵을 치르기를 기원하고 있다."

배수진을 쳤다. 드디어 실전이다. 홍 감독의 6번째 월드컵은 어떤 색깔일까. 대한민국 축구의 운명이 그의 어깨에 달렸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