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컵 초대 우승팀 한화생명,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첫 우승 차지할까?

남정석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3-09 12:37


LCK컵 초대 우승팀 한화생명,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첫 우승 차지할까…

LCK컵 초대 우승팀 한화생명,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첫 우승 차지할까…

LCK컵 초대 우승팀 한화생명,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첫 우승 차지할까…
LCK컵 초대 우승팀인 한화생명e스포츠가 LCK 대표로 역시 첫 국제 대회인 '퍼스트 스탠드'에 나선다. 사진제공=LCK



국내 무대를 2연속 평정한 한화생명e스포츠가 국제 대회 첫 우승 도전에 나선다.

올 시즌 전세계 5개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의 첫번째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 5개팀이 출전,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대결하는 최초의 국제 대회 '퍼스트 스탠드'가 10일 서울 LCK아레나에서 개막, 16일까지 일주일간의 '짧고 굵은' 열전에 나선다.

LCK(한국)에선 LCK컵 우승을 차지한 한화생명이 나서고, LPL(중국)은 TES(탑 이스포츠), LEC(유럽)에선 카르민 코프, LTA(미주)에선 팀 리퀴드, LCP(아시아-태평양)에선 CFO(CTBC 플라잉 오이스터)가 각각 도전장을 내밀었다.

퍼스트 스탠드는 정규시즌 개막을 앞두고 지역별로 새로운 밴픽 방식인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실전에서 처음 겨뤄보는 이른바 프리시즌의 글로벌 최종 승자를 가리는 대회이다. 정규시즌의 지역별과 글로벌 판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무대로, 역대로 두 차례의 롤드컵 8강 진출에 그쳤던 한화생명으로선 국내팬들 앞에서 첫 국제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 할 수 있다.

절호의 기회 잡은 한화생명

한화생명은 지난해 LCK 서머 시즌을 처음으로 제패, 젠지와 T1이 3년 가까이 구축한 양대 산맥 아성을 깨뜨리며 신선한 충격을 던졌다.

하지만 두번째로 나선 롤드컵(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선 좋은 기세에도 불구, 국제 대회 경험 부족을 드러내며 지난 2021년에 이어 또 다시 8강에서 행보를 멈춰섰다. 올 시즌을 앞두고 T1의 롤드컵 2연패를 이끈 '제우스' 최우제를 FA로 전격 영입, 전 포지션에서 약점이 없는 '완전체'로 업그레이드 시켜 LCK컵까지 제패했다.

특히 LCK컵 초반 그룹 스테이지에선 3승2패로 다소 손발이 맞지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5전 3선승제로 전환한 플레이오프에선 1라운드부터 결승까지 T1, 젠지, 디플러스 기아 등 올 시즌 우승 라이벌팀을 모조리 3승2패로 물리치는 엄청난 뒷심을 보여주며 LCK 2연속 정상에 오르고 퍼스트 스탠드 출전 자격까지 얻게 됐다.


특히 이번에 첫 국제 대회에 도입된 '피어리스 드래프트'는 이전 세트에 등장했던 챔피언을 이후에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선수들의 챔프 활용폭과 밴픽 구성과 전략이 훨씬 중요해진 상황이다. 한화생명이 승리한 경기에 반드시 1세트와 최종 5세트를 잡아낸 것은 진영 선택권과 함께 밴픽 전략을 가장 잘 준비한 결과라는 면에서 퍼스트 스탠드에서의 우승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변수가 많은 경쟁팀

물론 상대도 만만치 않다. 게다가 새로운 밴픽 방식 도입 후 기존의 지역 최강자를 물리치고 퍼스트 스탠드에 나선 카르민 코프와 CTBC 등 전력 분석이 잘 안된 신흥팀들이 등장, 고려해야 할 변수도 상당하다. 여기에 CFO를 제외한 나머지 3개팀은 역대 국제 대회와 마찬가지로 한국인 선수가 최소 1명에서 최대 3명까지 포진해 있어 더욱 그렇다.

TES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부터 결승전까지 5경기를 모두 3대1로 승리하는 진기록을 쓰며 중국 대표로 이번 대회에 나섰다. 특히 수년간 국제 대회 단골 진출팀인 빌리빌리 게이밍과 징동 게이밍, 한국 선수를 보강해 2명씩 보강해 전력이 급상승한 IG와 AL 등을 모조리 물리쳤기에 한화생명과 비슷한 행보와 기세라 할 수 있다.

팀 리퀴드는 정언영, 엄성현, 조용인 등 LCK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 3인방이 지난해에 이어 2년째 호흡을 맞추고 있는데다 원딜러인 '연' 성연호 역시 미국 국적인 교포이기에, 사실상 한국팀이라 할 수 있다.

LCK에서 뛴 '칸나' 김창동이 지난해 서머 시즌부터 활약중인 카르민 코프는 플레이오프에서 프나틱과 G2 등 전통의 강호를 모두 꺾으며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 나섰다. CFO도 지역 최강인 탈론을 꺾으며 한국을 찾았다.

국제 대회 최초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5개팀은 3전 2선승제 방식으로 모두 한차례씩 대결을 펼쳐 상위 4개팀이 4강에 진출한 후 결승까지 5전 3선승제로 맞붙는다.

10일부터 14일까지 매일 2경기씩 펼쳐지며 15일 4강전, 16일 결승전이 펼쳐진다. 한화생명은 10일 TES와 첫 경기를 가진데 이어, 12일 CFO, 13일 카르민 코프, 14일 팀 리퀴드와 각각 맞선다.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인해 세트별로 각양각색의 조합이 나오면서 국제 대회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았던 챔피언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 25.05 패치 버전의 공격로 교체 방지책까지 적용되는 만큼 더 다양한 전술과 전략이 나올 것은 분명하다.

총 상금은 100만 달러(약 14억 5000만원)이며 우승팀에게는 30만 달러(약 4억 3600만원)이 주어진다. 또 우승팀을 배출한 지역에게는 오는 7월에 열리는 MSI(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 본선 직행권이라는 특전이 제공된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