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987' 속 비하인드 #박종철 안경 #문소리 #명동성당

조지영 기자

기사입력 2017-12-27 15:14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올해 스크린을 장식할 마지막 신작, 휴먼 영화 '1987'(장준환 감독, 우정필름 제작)이 개봉일인 오늘(27일) 영화 속 제작 비하인드를 공개했다.

고(故) 박종철 열사의 실제 안경 등장

'1987'의 제작진은 1987년의 뜨거웠던 공기를 그대로 재현해내는 것은 물론, 영화의 작은 디테일까지 진심을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장준환 감독과 제작진은 영화를 준비하면서, 부산에서 열린 박종철 열사의 30주기 행사에 참석해 유가족들을 만났다. 유가족들은 영화의 제작에 대해 흔쾌히 허락한 것은 물론, 고 박종철 열사의 유품인 안경을 빌려주었고 실제 영화에 등장하는 소품은 이 실제 안경을 모델로 똑같이 제작되었다. 배우와 스태프들 모두 유가족들의 진심 어린 응원에 감동했고, '1987'을 위해 마음가짐을 다잡게 되는 계기가 됐다는 후문이다.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문소리 목소리 열연

영화의 엔딩을 장식하는 대규모 시위 장면에는 배우부터 보조 출연진까지, 모두가 그 자리의 주인공이 되어 열연을 펼친다. 한 사람, 한 사람의 함성이 모여 시위 장면을 완성했고, 그 함성의 중심에는 배우 문소리의 목소리가 깜짝 등장한다. 문소리는 시위 장면을 촬영할 당시, 선두에 서서 가장 큰 목소리로 "호헌철폐, 독재타도" 구호를 외치고, 보조 출연진들에게 적극적으로 연기 지도를 하는 등 영화를 향한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 영화를 위해 발을 벗고 나선 배우 문소리의 열연은 시위 장면의 완성도를 높이는 일등공신으로 꼽혔다.

이한열 합창단의 진심 담긴 목소리

1987년 당시 대표적인 민중가요였던 '그날이 오면'. 이 곡은 '1987'의 메인 테마곡이자, 엔딩을 장식하는 중요한 음악으로 사용된다. 6월의 광장을 함성으로 꽉 채워낸 시민들의 모습과 함께 '그날이 오면' 곡이 흘러나오고, 영화는 1987년 뜨거웠던 시간 속으로 관객들을 이끈다. 이때 흘러 나오는 '그날이 오면'은 이한열 합창단이 직접 녹음에 참여해 눈길을 끈다. 이한열 합창단은 연세대학교 87학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영화의 힘을 보태기 위해 직접 녹음에 참여했다. 당시 시대를 겪었던 학생들이기에 그들의 목소리는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에게 큰 울림을 선사한다. 배우와 스태프, 많은 사람들의 뜨거운 열정과 진심이 모여 '1987'은 완성될 수 있었고, 비로소 관객들과 마주할 수 있게 되었다. 배우부터 제작진, 영화에 참여한 모두가 주인공이었던 '1987'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묵직한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한국 영화 사상 최초 명동 성당 로케이션


'1987'의 제작진은 1987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해내, 그 시절을 겪었던 관객들이 영화를 봤을 때, 당시를 회상하고 감동 받을 수 있기를 바랐다. 제작진은 오픈 세트를 지어 연세대학교 정문부터 시청 광장, 명동 거리 등을 되살려 냈고, 건축 자재 하나까지 최대한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애썼다. 그 중 가장 리얼리티가 돋보이는 곳은 바로 명동성당이다. 실제 각종 집회와 민주화를 촉진하는 성명서가 발표되었던 명동성당 내부에서의 촬영이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허가됐고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을 스크린에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게 됐다.

한편, '1987'은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 냈던 사람들의 가슴 뛰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이희준, 그리고 강동원, 설경구, 여진구가 가세했고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카멜리아' '지구를 지켜라!'의 장준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오늘(27일) 개봉한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진=영화 '1987' 포스터

30만원 홍삼제품 4만원에 사는 방법있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