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선수와 골밑에서 밀리지 않는 파워를 갖춘 토종 센터와 팀의 공격을 이끈 가드의 대결에서 센터가 이겼다.
오세근은 외국인 선수와 다퉈도 밀리지 않는 힘을 가진 토종 센터로 프로 데뷔 때부터 주목을 받았다. 2011∼2012시즌 괴물같은 힘으로 팀을 챔피언결정전 우승으로 이끌며 신인왕을 차지했었다. 하지만 이후 잦은 부상으로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2014∼2015시즌에 32경기, 2015∼2016시즌엔 34경기 출전에 그쳤다. 하지만 이번시즌 건강한 몸으로 나선 오세근은 기대했던 힘으로 골밑을 지키며 팀의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데뷔 후 처음으로 54경기 전경기에 출전하며 평균 32분여를 뛰었다. 14.0득점, 8.4리바운드, 3.4어시스트, 1.4스틸을 기록.
오세근이 있음으로써 KGC는 외국인 단신 선수로 키퍼 사익스가 맹활약을 펼칠 수 있었다. 다른 팀들이 단신 선수도 언더사이즈 빅맨을 데려와 KGC는 2,3쿼터에서 매치업이 힘들 수 있었다. 하지만 오세근이 상대 언더사이즈 빅맨을 맡아 확실히 잡음으로써 사익스가 가드로 펄펄 날 수 있었다.
이번 MVP경쟁에서 팀동료인 이정현이 강력한 라이벌로 떠올랐다.이정현도 54경기 전경기에 출전하며 팀 공격을 진두지휘 했다. 평균 15.3득점으로 국내 선수 중 득점 1위에 올랐고, 5.0어시스트, 3.0 리바운드로 맹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오세근이 팀 공헌도에서 조금 더 높이 평가 받았다.
오세근은 이번시즌 뒤 FA자격을 갖는다. 이번 시즌을 시작하기 전부터 여러 구단에서 그에게 관심을 보였던 터라 오세근이 MVP까지 수상하며 최고의 선수임을 입증한만큼 FA시장이 열리면 오세근을 잡기 위한 구단들의 치열한 다툼이 예상된다.
신인왕은 신인 삼총사 중 세번째로 드래프트됐던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강상재가 수상했다. KGC를 우승으로 이끈 김승기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지 2년만에 감독상을 받았고, 외국선수상은 서울 삼성 썬더스의 리카르도 라틀리프가 받았다.
베스트5는 이정현(KGC) 박찬희(전자랜드·이상 가드)이승현 애런 헤인즈(이상 오리온·포워드) 오세근(KGC·센터)이 선정됐다. 전자랜드 정병국이 식스맨상, KCC 송교창이 기량발전상, 오리온 이승현이 최우수수비상을 수상했다. kt의 김영환이 이성구 페어플레이상과 샷오브더시즌 등 2개를 받았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