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스타즈의 초특급 신예 박지수가 아시아 청소년 여자농구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이후 21일 귀국, 바로 인천도원체육관을 찾아 신한은행과 경기를 하는 팀 선배들을 응원하고 있다. 사진제공=WKBL |
|
이제 올스타전 축제는 끝났다. 다시 후반기 전쟁이다. 특히, 하위 3팀은 플레이오프 진출 마지노선인 3위를 위해 달려야 한다. 그럴려면 무조건 풀어내야 할 숙제가 있다.
여자프로농구 전반기는 1강5중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절대강자 아산 우리은행 위비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나머지 5팀이 2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놓고 다투는 형국이다. 일단 전반기는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가 2위, 부천 KEB하나은행이 3위로 마쳤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최하위 청주 KB스타즈와 삼성생명의 승차는 5경기 뿐이다. 3위 KEB하나은행과는 3.5경기 차다. 하위 팀들이 충분히 뒤집을 수있는 승차다.
그런데 4위 구리 KDB생명 위너스, 5위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6위 KB스타즈에는 공통점이 있다. 약속이나 한 듯 원정에서 최악의 모습을 보였다. 전반기 원정 경기 성적이 2승9패로 3팀이 모두 똑같다. 원정에서 이렇게 약하니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없다. 반타작 정도만 했어도 2, 3위 팀과 나란히 할 수 있었다. 삼성생명은 원정에서 4승6패, KEB하나은행은 5승6패를 기록했다.
아무래도 모든 프로스포츠 경기에서는 홈 경기 승률이 좋은 게 일반적이다. 자주 경기하는 곳이라 편하고, 팬들의 응원도 받는다. 특히, 농구는 더 민감하다. 체육관마다 골대 특성도 다르고, 마루 바닥의 미끌리는 느낌도 다르다. 골대 뒤 지형지물 위치 등에 따라 거리감도 달라진다. 실력 좋은 프로 선수들 경기력에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이다. 그렇다고 프로 선수들이 언제까지 원정 경기 어려움의 핑계만을 댈 수는 없다. 그걸 극복해내야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갈 수 있다.
물론, 원정에 대한 부담 뿐 아니라 팀 경기력 자체가 좋지 않다는 점도 자체 반성 해야한다. 특히, 최하위로 처진 KB스타즈의 경우 대형 신인 박지수가 합류했음에도 홍아란 이탈 악재 등으로 그 효과를 전혀 못보고 있다. 신한은행은 김단비 의존도가 너무 크며, KDB생명은 고참 선수들의 경기력 기복이 커 종잡을 수 없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하위 3팀에게도 아직 기회는 충분하다. 3위 안에 들기 위해서는 결국 원정 경기 승률을 어떻게 끌어올리느냐가 승부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홈에서는 나쁘지 않았으니 현재까지 2, 3위팀들과 경쟁이 가능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핵꿀잼' 펀펌+'핵미녀' 디바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