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시즌 세 번째 6연승. 어느 덧 2위 그룹과 격차도 벌어졌다.
이런 KIA의 '신중함'은 과거의 경험에서 찾은 교훈이다.
|
|
KIA는 7월 14경기에서 12승(2패)을 쓸어 담으면서 8할 넘는 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7월 팀 타율이 3할2푼8리에 달하고,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팀 타점이 세 자릿수(107점)일 정도로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징후가 곳곳에서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 이의리에 이어 윤영철까지 이탈하면서 선발 로테이션 두 자리에 구멍이 생겼다. 윤영철의 대체자로 낙점된 김도현이 선발승을 거두며 기분 좋은 스타트를 끊었으나, 그동안 이의리의 빈 자리를 잘 메워온 황동하는 최근 들어 이닝 소화력이 급격해 약화됐다. 이의리가 이탈한 4월 중순부터 풀가동된 불펜은 피로가 쌓일대로 쌓인 상태지만, 마땅한 대체 자원이 없는 상황. 5월까지 3점대였던 팀 평균자책점은 어느덧 4.41까지 높아졌다. 선발 평균자책점이 4.12지만, 불펜은 4.86에 달한다. 마운드 불안은 언제 터질 지 모르는 뇌관이 된 지 오래다.
|
|
KIA는 지난 두 시즌 간 타선 기복으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올 시즌에도 5월 중순부터 페이스가 급격히 떨어져 6월 한 달간 5할 승률을 밑돈 바 있다. 최근 절정의 타격감을 선보이고 있으나, 타선이 침체되면 마운드 불안까지 겹치면서 겉잡을 수 없이 추락할 수 있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야 한다. 앞선 두 번의 우승 과정에서 고난을 겪었던 KIA이기에 더 채찍질을 할 수 밖에 없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