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리즈로 KBO리그가 떠들이고 있는 가운데, 그에 못지 않게 떠들썩한 이야기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유턴파' 선수들의 FA(자유계약선수) 계약이다.
구단들도 눈치 싸움을 시작했다. FA 영입은 먼저 움직이지 않으면 '뒷북'을 치게 된다. 타 구단 동향을 면밀히 살펴야 할 시기다.
'스타 플레이어'들이 KBO리그에 돌아온다면, 그 자체만 놓고 보면 환영할 일이다. 문제는 이들의 몸값이다. 현재 평균적으로 언급되는 액수가 100억원이다. KBO리그에서 100억원 선수가 탄생한 것은 불과 1년 전이다. KIA 타이거즈 최형우가 4년-100억원으로 신기록을 세웠고, 롯데 자이언츠로 돌아온 이대호가 4년-150억원으로 이를 뛰어 넘었다. 공식 발표의 '마지노선'이었던 100억원이 마침내 깨진 것이다.
특히 해외 유턴파 선수들은 국내에서 처음 FA 몸값이 측정됐을 때보다 오르면 올랐지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의아한 부분이다. 냉정히 보면 해외에서 성공을 거둔 게 아닌데도, 몸값은 오히려 상승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FA 계약은 선수의 객관적인 성적과 기대치를 반영한 액수로 정해지는 게 맞다. 현재 몸값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지적에 대부분의 관계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이럴 경우 구단들이 자체적으로 적정선을 지키면 되지만, 이미 선수들의 눈이 높아져있는데다 1~2개 구단이 암묵적인 룰을 깨고 베팅에 나서면 아무 소용 없는 일이다.
D 구단 단장은 "우리는 특별한 FA 영입 계획이 없지만, 해외리그에 진출했다 돌아오는 선수들의 몸값이 너무 높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메이저리그에서 뛰었다는 자체만으로 플러스 요소가 된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냉정히 말해 리그에서의 공백도 있었고, 무조건 성적이 보장되지도 않는 것 아니냐"고 조심스럽게 의견을 밝혔다.
리그 전체적인 거품 증가로도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대로라면 S급이 아닌 웬만한 A급 선수들도 기본 90억원 이상을 부르면서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된다. 또 FA 자격을 얻은 선수들이 해외에 진출했다 돌아오면 설령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대박 계약'이 확실하기 때문에, 무리해서 나가는 주객전도가 될 수도 있다. 공생을 위해서라도 거품은 빼야 한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