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 유희관은 꾸준했다. 그러나 강렬하진 않았다.
'명품 투수전'이라 말하기엔 두 선수 모두 2% 부족했다.
유희관은 1회부터 위기를 맞았다. 선두타자 김민우를 내야 플라이로 처리하며 산뜻하게 출발.
후속타자 브렛 필에게도 중월 2루타를 맞으면서 위기감은 고조됐다. 하지만 나지완과 이범호를 모두 2루수 앞 땅볼로 처리, 더 이상 실점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유희관의 몸쪽 패스트볼과 바깥쪽 싱커 조합을 KIA 타자들이 잘 준비했다.
그러자 유희관은 가만있지 않았다. 곧바로 볼 배합을 바꿨다. 낙차 큰 커브로 카운터를 잡으며 볼 배합의 급격한 변화를 줬다. 결국 2회부터 4회까지 단 1개의 안타를 허용하는 완벽투를 보였다.
양의지의 스리런 홈런으로 두산이 4-2로 역전한 상황.
유희관은 6회 위기를 맞았다. 선두타자 김주찬에게 몸에 맞는 볼을 내줬다. 승부구로 몸쪽 꽉 찬 패스트볼을 선택했는데, 힘이 너무 들어갔다. 필에게 중월 2루타를 얻어맞았다. 무사 2, 3루의 위기에서 나지완에게 연거푸 3개의 싱커를 던졌고, 결국 2타점 중전 적시타를 허용했다. 하지만 이범호 박준태 박찬호를 잇따라 범타 처리, 더 이상 실점은 없었다. 7회에는 세 타자 연속 삼진을 잡는 괴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이날 유희관의 제구력 자체는 그리 안정적이지 못했다. 컨디션이 그리 좋지 않았다. 하지만 매 이닝 조금씩 다른 볼 배합으로 KIA 타선에 혼란을 가중시켰다. 강렬하진 않았지만, 선발로서 제 역할을 했다. 광주=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