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두번째 투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마운드 운용에 대해 얘기할 때 누구나 "선발도 중요하지만 두번째 투수가 정말 중요한 것 같다"고 입을 모은다. 투수의 보직에 따라 셋업맨, 마무리, 롱릴리프 등 다양한 이름이 있는데 두번째 투수는 별다른 용어도 없다. 선발에 이어 나온다고 해서 두번째 투수다. 두번째 투수가 뭐길래 이렇게 강조하는 것일까.
봉중근, 윤석민도 두번째 투수였다
2006년 1회 대회 때는 두번째 투수의 개념보다는 벌떼마운드가 적절한 표현이었다. 선발이 5회까지 던지는경우가 많아 두번째 투수가 필요없는 상황이 많았고 선발이 내려간 이후 투수들을 짧게 던지게 하면서 자주 바꿔 상대를 교란시켰다. 지난 2009년 2회대회때부터 두번째 투수가 역할을 하기 시작.
봉중근과 윤석민도 두번째 투수의 역할을 했었다. 2회 WBC에서 일본전에 등판하며 '의사' 칭호를 국민에게 받았던 봉중근은 1라운드 1차전 대만전서 3이닝을 던진 류현진에 이어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고, 좋은 구위를 선보이자 이후 일본전에만 3차례 선발등판했다. 윤석민도 두번째 투수로 승리의 교두보를 놓았다. 2라운드 일본과의 승자전서 봉중근에 이어 마운드에 올라 2⅓이닝을 무실점했다. 이어 베네수엘라와의 준결승에서 선발 등판해 결승 진출을 도왔다.
두번째 투수의 조건은?
한국 마운드의 불펜진은 팬들도 모두 인정할 정도로 막강하다. 홀드 신기록의 주인공 왼손 박희수와 느려도 못친다는 언더핸드스로 정대현, 돌직구 오승환 등 화려한 라인업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두번째 투수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선발이 3∼4이닝 정도를 잘 막아줬을 때 필승조와 연결시키는 2∼3이닝이 분위기를 바꿔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선발은 아무래도 50개 이상의 투구를 해야하기 때문에 계속 전력피칭을 할 수가 없다. 그러나 두번째 투수는 2이닝 정도만 막으면 되기 때문에 전력피칭이 가능하다.
한국 WBC대표팀의 양상문 수석코치는 "두번째 투수는 아무래도 선발보다는 구위가 좀 더 좋고 변화구 구사도 좋아야 한다"고 했다. 현재 대표팀에선 윤석민 장원삼 송승준 서재응 등이 선발후보이고 윤희상 차우찬 노경은 장원준 등이 두번째 투수 후보들로 꼽힌다. 선발 후보들은 대부분 선발로만 던졌던 투수들. 제구력이 좋고 안정적이다. 반면 두번째 투수 후보들은 선발투수이면서 중간계투 경험도 많은 선수들이다 공도 빠르고 체인지업 등 확실한 주무기가 있다.
아직은 투수들의 컨디션이 어느정도인지를 알 수 없다. 아무래도 시즌 전 대회라서 누가 대회 기간에 좋은 컨디션을 보일지 알 수 없다. 이럴 땐 선발과 불펜을 모두 할 수 있는 투수가 많은 것이 유리하다. 상황에 따라 보직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선발투수이면서 마무리 경험도 가지고 있는 이용찬 등이 빠진 것이 아쉬운 것은 이 때문이다.
타이중(대만)=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