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시즌 K리그 일정의 대미를 장식해야 할 상주와 부산의 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이 논란으로 얼룩졌다.
26일 상주-부산전에서는 골과 관련된 3차례 장면 모두 VAR이 적용되는 이례적인 상황 때문에 논란의 강도가 심해졌다.
인터넷 공간 축구팬 사이에서는 "VAR 제도가 없었다면 결과적으로 부산의 승리로 클래식에 갈 수 있었을 것"이라는 '뒷북' 주장은 물론 '오프사이드가 맞다, 아니다'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특히 상주의 골이 먼저 취소됐을 때 상주시민운동장 관중석에서는 부산 아이파크가 회장사 구단이라는 이유로 "밀어주기 하느냐"는 억측이 나왔고, 논란 많았던 김성호 심판이 주심을 본 사실 때문에 논란이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프로축구연맹을 통해 확인한 결과 상주-부산전의 VAR을 둘러싼 논란은 '소모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현장에서 VAR을 가동할 때 함께 현황 체크를 한 연맹 관계자의 도움을 받아 3차례 상황을 짚어봤다.
첫 번째, 전반 14분 부산 이정협의 페널티킥 유도 장면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이정협이 크로스를 따내려고 문전 측면으로 쇄도할 때 뒤따르던 상주 수비수 윤영선이 밀어 넘어뜨린 장면이 정확하게 포착됐다.
|
두 번째, 후반 16분 상주 유준수의 골 상황도 오프사이드 규정을 좀 아는 축구팬이라면 시비거리가 안된다. 김태환이 크로스 하는 순간 유준수 바로 앞에 있던 여 름이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다가 한발짝 뒤로 간 뒤 헤딩하려고 점프를 했고 이를 지나친 공이 유준수로 연결됐다.
오프사이드는 ①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었느냐 ②플레이에 참여(involved in play)하였는가 ③플레이에 관여 또는 간섭(interfering with play)하였는가 ④오프사이드 위치에서 이득을 취하였는가에 따라 판정된다. 여 름의 플레이는 ③ 조항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더구나 부심은 이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깃발을 올린 상태였다.
가장 논란이 된 것은 부산의 운명을 가른 세 번째 상황이다. 후반 20분 호물로의 프리킥을 임유환이 헤딩을 했고 골키퍼 유상훈이 잘 막아낸 것을 박준태가 쇄도하며 밀어넣었다.
박준태의 득점 상황만 놓고 보면 오프사이드가 아니다. 세컨드볼을 향해 쇄도할 때 상주 수비수 임채민이 박준태보다 앞에 있었다. 그러나 임유환의 헤딩슛부터가 오프사이드였다. 여기서는 부심의 깃발이 올라가지 않았다. 페널티박스 앞에 10여명의 양팀 선수들이 뒤엉켜 있는 터라 육안으로 제때 포착하기 힘들었다는 게 연맹의 설명이다.
그래서 VAR이 선언됐고 확인한 결과 호물로의 프리킥 당시 임유환과 홍진기가 모두 오프사이드 위치였다.
연맹 관계자는 "VAR을 위해 10여개의 카메라를 곳곳에 배치하는데 오프사이드 판독용 카메라도 따로 있다. 그 카메라를 통해 정확하게 판독한 결과 간발의 차이지만 임유환이 오프사이드라는 것은 반론의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
VAR 전용 카메라와 달리 방송 중계 카메라는 한정된 각도에서 보여준다. 월드컵같은 큰 경기가 아닌 이상 비용 등의 문제로 다양한 각도의 화면을 보여줄 수 없다. 축구팬들은 정확하지 않은 정보의 화면을 놓고 논쟁을 벌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기계의 힘은 옳았다. 하지만 심판들이 자신의 판단을 믿지 못한 듯 VAR에 너무 의존한 것처럼 비친 것은 옥에 티였다. 그리고 VAR 판정 상황에 대해 경기장 관중에게 설명 멘트를 해주는 서비스가 없던 것도 개선점으로 지적된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