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학년이 시작되는 3월. 코로나 팬데믹과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자녀 건강을 걱정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외부 충격에 약한 아이들 골절사고, 성장판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지난해 학교안전공제회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코로나19로 재택수업이 많았던 2020년 총 3만9212건에 비해 등교수업이 확대된 2021년 총 8만6905건으로 안전사고가 크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손과 팔, 무릎 부위 부상이 흔하다. 친구들과 장난을 치거나 자전거, 공놀이를 하다가 넘어질 때 반사적으로 손이나 무릎으로 땅을 짚어 골절되는 경우가 많아서다.
문제는 이러한 골절사고가 성장판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들의 뼈는 성인과 달리 많은 부분이 연골 상태로 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 연골 상태로 되어있다는 말은 성장판(골단판)이 열려있다는 의미다.
골간단(뼈의 길고 곧은 주요 부분인 골간과 뼈의 끝부분인 골단 사이의 부위)과 골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성장판은 연골세포로 구성돼 있는데, 이 성장판의 연골이 골로 변화하게 되는 과정에서 장골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성장이 이뤄진다. 뼈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성장기 어린이, 청소년기에는 발생하는 소아골절은 성장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성장판이 손상돼 성장판 조기폐쇄가 발생하면 성장이 멈출 수 있으며, 무릎, 고관절, 족관절 부위가 골절돼 긴 뼈가 휘어지는 골변형이 생기면 키가 작아 보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골절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격한 몸싸움이나 장난은 자제하도록 지도하는 등 골절사고에 대한 안전의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을 할 때는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충분히 이완해주고, 헬멧, 손목 및 무릎 보호대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만약 골절사고를 당했다면 손상 부위 고정하는 응급처치가 필수다. 두꺼운 종이나 판자를 이용해 골절 부위와 주변 부위까지 넉넉하게 고정해 골절부 주변의 연부조직이 추가로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치료 후 꾸준한 추적관찰도 중요하다.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김유근 원장은 "성장판은 불완전한 연골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 방사선(X-ray) 검사를 받는다고 해도 초기에 성장판 손상을 진단 내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며 "최소 2개월에서 6개월, 길게는 1년이 지나야 성장정지(Gross arrest)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성장판 손상의 후유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알레르기 비염으로 숙면 방해되면 성장호르몬 분비 낮아져
아울러 봄이 되면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호소하는 아이들도 늘어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먼지, 진드기, 반려동물의 털 등 특정 원인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과민성 염증 질환이다. 콧물, 코막힘, 재채기, 가려움증이 주요 증상으로, 집중력을 저하시켜 학업 능률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숙면을 방해해 키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성장호르몬은 잠든 후 2시간 뒤, 밤 10시에서 새벽 2시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분비된다. 코가 막혀 수면 중 제대로 호흡하지 못하면 체내 산소가 부족으로 깊이 잠들기가 힘들어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는다. 또 후각 기능이 감퇴해 식욕이 저하되면 영양분 섭취가 원활하지 못해 발육이 더딜 수 있다.
인천힘찬종합병원 호흡기내과 서원나 과장은 "알레르기 비염이 있다면 숙면을 방해하는 야식을 자제하고 실내 습도는 40~50%로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베개와 침대 매트리스는 커버로 감싸 사용하고, 커버와 잠옷은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로 자주 세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등교할 때는 가급적 마스크와 안경을 착용하고 하교 후에는 바로 샤워를 하고 옷을 갈아 입어 외부에서 유입된 유해물질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피부반응 검사를 통해 원인 항원을 확인하고 증상 발현 1~2주 전에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예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