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포츠 및 레저 활동이 증가하면서 족저근막염 환자도 늘고 있다.
걸을 때 발을 지지하고 종아리의 힘을 발바닥에 전달해 몸을 전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고 힘든 역할을 담당한다.
족저근막염은 단순 염증이라기보다 외상, 퇴행성 변화, 압력, 신발의 외력, 조직의 탄성 변화를 포함한 모양의 변형 등에 의한 복합적 퇴행성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의 주요 증상은 무리한 걷기나 달리기, 밑창이 얇은 신발을 신고 걸은 후 느끼는 뒤꿈치 바닥 쪽의 통증으로 시작된다.
처음에는 쉬면 좋아지다가 진행될수록 자고 일어나 바로 걷기 힘든 통증이나 오래 앉아있다 일어나서 걷기 시작할 때 통증 때문에 걸음을 걷기 힘들다고 호소하게 된다. 병이 더 진행돼 만성화되면 쉬는 동안에도 통증이 계속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은 잘 알지 못하는 일상의 고통을 느끼게 된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족부족관절센터 배서영 교수는 "환자들에게 족저근막염의 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관리라고 강조한다"며, "대부분의 족저근막염은 비수술적 치료, 즉 스트레칭과 족저근막의 마사지, 휴식 및 보호, 야간 부목이나 약물의 단기 사용을 통한 통증 조절로 호전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기에는 체중 부하 상태에서의 운동과 보행을 줄이고 무릎을 펴고 발목을 신전(발가락이 머리 쪽으로 움직이는 발목의 운동) 시키는 다양한 자세의 스트레칭으로 많은 환자가 증상의 호전을 경험한다. 하지만 급성 파열에 의한 통증은 오히려 과도한 스트레칭으로 악화되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근에 많이 걸은 후 아침에 딛기 힘든 발꿈치 통증이 발생했다면 일단 족저근막염을 의심, 활동을 줄이고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하는 게 도움이 된다.
그러나 족저근막염과 유사한 발꿈치 통증이 나타나면서도 전혀 원인이 다른 여러 질환이 있을 수 있다.
말초신경염, 신경포착증후군, 발꿈치뼈의 피로골절, 급성 족저근막의 파열, 점액낭염, 지방패드 위축증후군, 족저근막이나 발바닥의 종양, 허혈성 통증 등의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전형적인 원인이 있고 간단한 조치로 호전되지 않는다면, 병원을 방문해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고 관리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