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20일 발표한 '고령자 의료소비 실태 및 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 의료비 지원 자녀의 82%가 가계 소득 감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노후 의료비가 가계와 가족관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후의료비 지출에 대한 준비 방법 등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부모의 의료비를 지원하는 자녀의 82%가 가계소득의 감소를 경험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부족한 의료비를 메우려 자녀들은 모아 둔 금융자산을 활용하거나(46%), 생활비를 아끼고(26%), 빚(10%)을 내기까지 했다. 이처럼 부모 스스로 의료비를 준비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자녀들은 '노후 의료비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했거나(30%)','부족한 노후 생활비 (25%)'와 '손·자녀의 양육 및 교육비(20%)'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부모 의료비 부담 경험 때문에 설문에 참여한 자녀 대부분(95%)이 '노후 의료비 준비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 준비하고 있다는 답변은 절반(48%)에 불과했다. 자신의 의료비용을 부담하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실손보험(46%), 생활비 보장하는 암/CI보험(28%)등 보험을 활용하겠다는 답변이 74%였다. 민간보험을 활용해 노후의료비 대비를 하려는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58%가'공적 건강 및 장기요양 보험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답했으며, 36%는 '직접적인 의료/간병비 외에도 생활비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부모의 평균 투병기간은 6.1년, 치료 및 간병비 등 총액 평균은 3228만원이었다. 또한 전체 의료소비에서 간병비, 건강기능식품 및 보조기구 구입비, 생활비 등의 간즐용 비중은 37%였다. 특이점은 투병기간이 길수록 직접적인 의료비는 감소하는 반면, 간즐용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투병기간이 10년이상 늘어가는 경우 직접적인 의료비의 비중은 최초 58%에서 50%로 감소했다. 반면 약제비(7% →12%)와 건강기능식품 및 보조기구 구입비용(8%→15%)등의 비중은 늘어났다. 또한 간병비도 꾸준히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