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가 들수록 잘 먹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 현실은 65세 이상 인구의 30% 정도가 '구강건조증'을 앓는다고 알려져 있다. 건강한 성인의 입에서는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나이가 들수록 침의 분비가 줄어든다. 노화로 인해 침이 만들어지는 타액선 기능이 떨어지면서 침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침이 입속에 들어온 음식물을 부드럽게 만들어야 씹기 편하고, 치아 표면에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도 씻어내 준다. 씹는 게 중요한 이유 중 또 다른 하나는 소화를 잘 시키기 위함이다. 침에는 소화효소가 가득해 영양섭취와 소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 침은 구강 내 세균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침의 분비가 적으면 잇몸에 침투하는 세균을 막을 수 없어 치아 상실을 비롯한 각종 치주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어르신의 경우 치아에 충치가 없는 상태라고 해도 주변 조직에 세균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가 시리거나 불편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또, 평소 규칙적으로 양치질하고 1년에 1~2번 치아 표면을 닦아내는 스케일링을 받아 치태가 쌓이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구강건조증은 원인에 따라 원발성(일차적) 구강건조증과 속발성(이차적) 구강건조증으로 나뉜다.
원발성 구강건조증은 침샘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입안에 종양이 생겨 침을 만드는 기관 자체에 문제가 생기는 게 원인이다.
속발성 구강건조증은 약물 복용에 의한 부작용으로 발생한다. 약물은 구강건조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알레르기나 감기를 다스리는 항히스타민제와 고혈압, 천식 치료제에 포함되는 알파차단제의 약 성분이 입안을 마르게 하기 때문이다.
어르신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약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구강건조증의 위험이 더욱 높다. 구강건조증이 생기면 입안이 건조해 음식물을 삼키거나 말하는 게 어려워지고, 치아 표면을 보호하는 침이 줄어 충치가 생기고 잇몸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알레르기약이나 빈혈약 등으로 인한 구강건조증은 원인이 되는 약물을 끊으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하지만, 당뇨병처럼 규칙적으로 약을 챙겨 먹어야 하는 어르신이라면 침 분비를 촉진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우선 무설탕 사탕이나 껌, 귤과 레몬 등 신맛이 나는 과일, 식초가 들어간 음식을 먹으면 침샘을 자극해 침 분비를 늘릴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음식을 오래 씹는 것이다. 침은 1분에 0.25~0.35mL가 분비되는데, 음식을 오래 씹으면 최대 4mL까지 나올 수 있다. 밥 한 숟가락을 30회 이상 꼭꼭 씹어 삼키면 된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가 심하면 침샘 활동이 억압돼 침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숨을 쉴 때는 입이 아닌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입안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입 냄새를 수시로 체크 하는 것이 좋다. 입 냄새가 나는 원인으로는 충치나 치주염, 구강건조증, 흡연, 음주 등 다양하지만 90% 이상이 구강상태 때문이다.
특히, 어르신들의 경우 나이로 인한 생체학적인 침 생성 감소도 있지만 여러 약을 많이, 자주 복용하기 때문에 구강건조증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다.
타액은 음식 소화와 입안 청결의 필수 요소다. 평소 입 냄새에 대해 신경 쓰는 것이 건강한 치아관리의 첫 걸음이다.
진세식 유디치과 강남역점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