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최근 국내 경제의 주요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의 방향에 대한 연구를 정리한 도서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발간한다.
29일 KT에 따르면 KT경제연구소는 31일 연구서적인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발간한다. 해당 서적은 정보통신기술(ICT) 전문 연구기관인 KT경제경영연구소가 축적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에 맞는 4차 산업혁명을 정의하는 동시에, 개인과 기업ㆍ학계ㆍ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세부적인 과제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아이디어도 제공한다.
KT경제경영연구소 측은 "한국 사회가 4차 산업혁명에 주목하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변화를 갈망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며 "누적된 한국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상황들이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이 부각되는 이유도 양극화ㆍ실업ㆍ고령화 등 사회 곳곳에 산재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우리의 삶이 더 나아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투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해법으로는 ICT 혁신 기술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신산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포용적 성장'을 제시했고 이를 위해 일자리, 고령화ㆍ저출산, 사회안전망, 환경, 교육 등 7대 정책을 제언하고 있다.
KT경제연구소는 4차 산업혁명에서 각각의 기술들은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유기적으로 작동된다고 봤다. 연결을 책임지는 것은 차세대 네트워크인 '5G'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특성을 가진 5G는 인터넷, 전기, 자동차에 버금가는 기반 기술로서 ICT의 역할을 확대한다. 5G를 토대로 한 ICT 혁신 기술의 등장은 KT-MEG의 사례와 같은 에너지 효율화, IoT 기반 실시간 대기의 질 측정 등 지금껏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대수 KT경제경영연구소 소장은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가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발맞춰 ICT 융합 활성화를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완화하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며 "국민 모두가 5G 등 ICT 융합 트렌드 변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면 대한민국은 글로벌 ICT 강국에서 'ICT 컨버전스 코리아(Convergence Korea)'로 도약해 세계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