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감독이 공석인 시·도민구단 관계자들에게 차기 사령탑에 관해 물었을 때 돌아오는 답은 비슷하다. "저희도 모른다. 듣는 게 있으면 알려달라." 여기서 드는 궁금증은 '구단 운영·살림은 구단이 하는데 선수단을 책임지는 수장을 구단이 왜 안 뽑을까'이다.
구단주의 결정은 느리지만 절대적이다. 원하든, 원치 않든 시장(도지사)과 시 관계자가 차기 감독에 대해 입김을 불어넣을 수 있는 환경에 노출돼 있다. 구단이 리스트업한 감독 중 한 명을 뽑으면 그나마 다행이라고 전현 시·도민구단 관계자들은 말한다. 때로는 엉뚱한 이름이 하달되곤 한다. 특히 시장(도지사) 선거를 통해 집권당이 바뀌는 경우엔 '시장(도지사)쪽 사람'이 지휘봉을 잡는 경우가 허다하다. 선거 과정에서 힘을 빌려줬거나, 시(또는 지역축구협회) 관계자와 친분이 있는 지역 축구인, 시장(도지사)의 '픽'을 받은 유명 축구인, 학연·지연으로 얽힌 축구인 등이 '뜬금포'로 등장하곤 한다.
'구단주'가 '직원' 한 명을 뽑는 데 무엇이 문제냐고 반문할 수 있다. 문제는 그 직원이 특수직이라는데 있다. 선수단을 통솔하는 감독은 성적을 좌우하는 주요 직책이다. 감독의 철학, 운영 방식, 지도력에 따라 구단의 운명이 갈리곤 한다. 선수 한 명 뽑을 때보다 몇 배는 더 신중해야 하는 건 당연하다. 잔뼈 굵은 축구인, 구단 프런트도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경우가 허다한 판이다. 시장(도지사)들은 '정잘알(정치를 잘 아는)' 일지는 몰라도 '축알못(축구를 잘 모르는)'이다. 몇몇 주변인의 의견을 청취하겠지만, 팔은 안으로 굽는다. 그 '풀'이 좁을 수밖에 없다. 지역 출신 혹은 유명인에게 매달리는 이유다. 대개의 시장(도지사)은 유명인을 선호한다. 시(본인) 홍보, 나아가 차기 선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올해까지 시·도민구단은 K리그1·2(총 23팀)를 통틀어 약 52%(1부 5팀, 2부 7팀)를 차지한다. 내년엔 천안, 충주시민축구단이 K리그에 참가할 예정이라 시·도민구단은 그 수가 점점 더 늘어날 전망이다. 시·도민구단의 '태생적' 문제를 다시 한번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 아닐까. 묻고 싶다. 시·도민구단의 구단주가 감독까지 결정하는 게 과연 온당한가. 나아가 시장 또는 도지사가 구단주를 맡는 현행 구조가 맞을까. K리그가 왜 정치 선거의 영향을 받아야 하나.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